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
실개천
속
나
d라이브러리
"
내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
과학동아
l
201607
이들은 미토콘드리아 DNA가 들어오기 이전에 세포에 들어와 골지체와 소포체 등 세포
내
막의 형성에 참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토콘드리아와 관련된 에너지 생성 유전자는 진핵세포의 외부 유전자 중 가장 늦게 들어온 축이었다. 시간순서로 볼 때 미토콘드리아가 진핵세포에 들어올 때 이미 ... ...
[Knowledge] “어떻게
내
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
과학동아
l
201607
각각의 적합도 효과를 가중한 다음에 모두 더한 값이 이웃-조정 적합도다. 이 때,
내
가 남들에게 준 적합도상의 효과들은 일체 무시한다.이타주의자가 한 명과 상호작용하는 경우의 이웃-조정 적합도를 계산해 보자(그림 Ⓕ). 수용자는 이타주의자 한 명이다. 행위자는 이타주의자 자신과 상대방, ... ...
[Tech & Fun] ‘김여사’는 없다
과학동아
l
201607
상대적으로 나은 집단에 있다고 해서 우쭐댈 필요도 없다. 우리 반 평균 성적이 높다고
내
성적이 반드시 높은 것이 아닌 것처럼, 나는 얼마든지 우리 반은 물론 전교에서도 하위권일 수 있다.건전한 사회라면 평등을 보장하고 격차를 줄일 방법을 찾을 것이다. 관련해서 여성 참가자들에게 여성들이 ... ...
[Interview] “우주엔 다섯 번째 힘이 존재할지도 모르죠”
과학동아
l
201607
그래서 질문하기 시작했는데,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어요. 한 걸음 떨어져서,
내
가 어디서 막혀 있는지, 뭘 모르는지에 대해 객관적으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어요. 그리고 사람들에게 그게 어디서 비롯됐는지 물어봐야 해요. 물론 이런 방법도 틀릴 수 있죠. 하지만 때로는 이 방법으로 놓치고 있었던 ... ...
Intro. 이세돌 9단 VS 알파고 인공지능의 무한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7
어떻게 공부해서 바둑을 두냐고? 사람이 대신 둔 거 아니냐고? 안 믿는다니 어쩔 수 없지.
내
가 ‘컴퓨터 바둑왕’이 된 비결을 살짝 알려 줄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이세돌 9단 VS 알파고 인공지능의 무한도전!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Part 2. 인공지능 키워드 1. 빅데이터Part 3.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7
그림이 펼쳐질지 미리 예상해요. 이런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가장 좋은 위치를 찾아
내
고 그 다음 상대의 수와 자신의 대응까지 예상하지요.그런데 알파고에게도 약점이 있어요. 지금껏 학습하지 않았던 독특한 수를 만나면 ‘멘붕’에 빠지게 돼요. 실제로 이번에 치러진 네 번째 대국에서 이세돌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7
장비를 달아 제비들이 겨울을 나기 위해 정확히 어느 곳으로 날아가는지 알아
내
는 새로운 조사 방법을 도입할 계획을 세우고 있지요. 이를 통해 제비의 수가 줄어든 것이 우리나라 환경의 문제인지, 제비들이 겨울을 나는 월동지의 문제인지 파악할 예정이랍니다.일본 이시카와현의 ... ...
[Editor’s note] 같이 해요!
수학동아
l
201607
영화 한 편을 만듭니다.그렇게 보면 학생들이 서로 협력해서 공부하고 뭔가 이뤄
내
는 수업을 도입하는 건 바람직한 일인 것 같습니다. 기왕 그렇다면 여러분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야겠지요?Mamihlapinatapai를 주고받고 있지만 말고요~ ... ...
[수학동아클리닉] 거울 속 수학세상이 보이는 마술피리
수학동아
l
201607
반사돼 다채로운 무늬를 만들어낸다. 빛이 어떻게 반사되기에 아름다운 무늬를 만들어
내
는 것일까?1세기경 알렉산드리아의 수학자 헤론은 빛은 최적의 경로를 찾아 가장 짧은 길로 이동한다고 주장했다. 자연은 늘 빠르고 효율적인 방향으로 움직이려 하기 때문에 빛도 가장 짧은 길을 따라 ... ...
[과학뉴스] 냉방병 원인균의 독특한 유비퀴틴화
과학동아
l
201607
몸은 세포
내
단백질이 수명이 다하거나 문제가 생기면 ‘유비퀴틴화’ 과정을 통해 제거한다. 쓰레기 단백질을 이동시키고 분해하는 과정은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과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암과 같은 질병이 생긴다.미국 퍼듀대 자오-칭 루오 교수팀은 최근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