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
반지
바퀴
링크
연결
루프
유대
d라이브러리
"
고리
"(으)로 총 972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를 알면 태풍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10
지구환경은 지속적으로 퇴보하고 있다. 퇴보된 환경은 다시 해양-대기-육지-동물의 연결
고리
를 통해 우리와 후손에게 고스란히 그 고통을 되돌려줄 것이다. 급변하는 기후와 지구온난화, 그리고 점점 더 강력한 태풍을 만들어내는 지구의 몸부림 속에서 우리의 살길은 어디에 있을까. 인류와 자연이 ... ...
폐암 토막상식
과학동아
l
200509
여겨지는데 지금까지 밝혀진 것은 1천개 정도다 유명한 행성상 성운으로는 거문고자리의
고리
성운, 작은여우자리의 아령성운, 큰곰자리의 올빼미 성운이 있다태양계가 속한 우리은하와 우리은하 부근의 외부은하에 있는 대소 두개의 마젤란성운과 안드로메다성운 등 20개로 이루어진 성운 집단 ... ...
나는 무엇에 이끌려 행동할까
과학동아
l
200509
배가 고프다는 동기와 레버를 건드리는 행동을 이어주는 것이 바로 학습이라는 연결
고리
다.이런 일련의 과정과 관계있는 뇌의 부위가 어디인가를 알아내기 위한 연구도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돼 왔다. 가장 널리 알려진 부위는 바로 시상하부(hypothalamus)다. 시상하부에는 생체의 항상성 유지에 ... ...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08
직선이 태양과 행성을 연결한 직선과 이루는 각을 위상각이라고 한다두 종류의 금속을
고리
모양으로 연결하고 한쪽 접점을 고온으로, 다른 쪽을 저온으로 하면 그 회로에 전류가 생기는 현상 1821년 독일의 TJ제벡(1770∼1831)에 의해 발견되었다 두 접점 사이에 나타나는 기전력은 금속의 종류와 ... ...
3. 공포증의 물귀신 작전
과학동아
l
200508
수 있기 때문에 회피하려는 욕구가 더 강해진다. 이렇게 해서 회피와 두려움 간 악순환의
고리
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공포도 학습된다공포증은 도대체 어떻게 생길까. 공포증이 발달하는 경로 중 하나로 ‘외상적 조건형성’이 있다. 당신이 개를 볼 때마다 개가 심하게 짖었다고 가정해보자. ... ...
헤르츠의 전파검출 실험
과학동아
l
200507
있었다.1888년 3월 헤르츠는 큰 방의 한쪽 벽에서 반사시킨 전자기파로 정상파를 만들고
고리
형 검출기를 사용해 정상파의 배와 마디의 위치를 알아내 전자기파의 파장을 측정했다. 그는 이렇게 구한 파장을 고유진동수와 곱해 전자기파의 전파속도를 구했고, 그 값이 빛의 속도와 같다는 것을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06
꼭지점을 이루는 세 개의 바늘을 구면 위에 얹게 되어 있으나 아베의 구면계는 그 대신
고리
위에 구면을 얹도록 되어있다 이 구면계는 구면을 흠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아베가 제창한 정밀측정의 원리 물체의 길이를 기준척도와 비교해 측정할 때는 물체와 척도를 일직선 위에 나란히 나열해야 ... ...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06
있다고 보고 있다.과학자들은 면역글로블린E(IgE)라는 항체를 기생충과 알레르기의 연결
고리
로 주목하고 있다. 이 항체는 우리 몸에서 기생충을 공격한다. 동시에 히스타민의 분비를 촉진해 알레르기가 일어나게 한다. 즉 우리 몸이 기생충에 대항하기 위해 이 항체를 만들었는데 막상 기생충이 ... ...
하루살이 물고기 피그미망둥이
과학동아
l
200506
귓돌을 조사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물고기의 귓돌에는 매일 하나씩 나이테처럼
고리
가 생겨 나이를 추정할 수 있다. 이전 기록은 아프리카 터키석송사리로 12주 만에 죽는다.뎁진스키 교수는 “작은 물고기들이 빨리 크고 일찍 죽는 전략을 선택하는 것은 포식자에 잡아먹힐 위험이 높기 ... ...
초소형 물질 붙이는 강력한 나노접착제 개발
과학동아
l
200505
붙일 수 있는 나노 접착제를 개발해‘사이언스’4월8일자에 발표했다. 이 접착제는
고리
형 탄소화합물로 온도를 250℃로 높이면 결합력이 강해진다. 연구팀은 다양한 물질의 표면 위에 이 접착제를 6나노미터(1nm=10억분의 1m) 두께로 입힌 후 고분자 나노 구조를 수직으로 배열하는데 성공했다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