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은 어떻게 탄생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1천배 이상 밝으며 그 크기도 1백배가 넘는다고 한다. 이후 약 1천만 년 동안 중력 수축해
결국
안정된 상태에 이르게 되는데, 태양같은 별의 수명(약 1백억 년)에 비하면 거의 순식간에 만들어진다고 해도 그리 틀린 말은 아니다.다음 호에서는 별의 진화에 관해 알아 보기로 한다 ...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별과 가스가 항상 밀집돼 있으나 각각의 별과 가스들은 나선팔에서 천천히 움직일 뿐
결국
은 빠져 나가게 된다. 따라서 나선팔 형태는 은하의 자전으로 인하여 부서지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에너지를 교환하며 진화한다 밤 하늘에 보이는 우리은하는 우리가 어릴때 빛나던 별이 오늘도 똑같은 ... ...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얼음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를 만년설이라 한다. 만년설은 점차 단단한 형체로 굳어져서,
결국
어떤 고정(固定)된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설원(雪原)이다.설원으로 변한 만년설은 시간이 흐를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데 이런 성장한 설원은 얼음 스스로의 무게와 지형의 지배를 받으며 ... ...
리우 민간환경단체 '92 지구포럼'현지 취재 "시민의 힘만이 지구를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계속될 것이라 경고하고 정부간 협약에서 제외된 내용을 따로이 협약화하여 발표했다.
결국
지구의 운명은 정부 혹은 국가정상들간의 협상에 맡겨져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을 지키려는 민중들의 소박하면서도 피나는 노력에 달려있음을 내보이려 노력한 것이다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우주). 즉 우주의 부피를 이야기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미래의 우주는 현재의 팽창을
결국
이겨내고 다시 수축을 해 모두 무한대의 밀도인 뜨거운 한 점으로 떨어져 들어갈 것이다. 만약 우주의 평균밀도가 이 임계밀도보다 같거나 작으면 우주의 공간은 무한하다(열린 우주). 열린 우주는 끝이 ... ...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잴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사실은 그렇지 않다. 우리 지구의 경우 탈출 속도인 v≒11.2(km/초) (17)에 이르기 전에는
결국
(그림 4)에서 처럼 타원 궤도를 그리며 도로 지구로 끌려 돌아오게 된다. 탈출 속도에 이르러서야 인공위성은 비로소 포물선을 그리며 지구를 영원히 떠나게 되는 것이다. 식(17)의 탈출 속도는 식 (16)의 원운동 ... ...
냉장고의 열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열관계를 역전시켜 주는 장치에는 에너지를 계속 공급해 주어야 한다. 이 에너지는
결국
전기에너지일수밖에 없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보다 효율높은 냉각방식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 이 방면의 연구는 주로 음식물의 적정한 저장온도를 찾아내서 필요 이상의 냉각으로 소모되는 ... ...
바다는 이산화탄소의 거대한 저장탱크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없으면 아무리 많은 이산화탄소가 녹아들어와도 심층수로 운반이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결국
질산이온과 인산이온을 얼마나 많이 바다로 공급하느냐가 심층수의 이산화탄소 용량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들 이온의 바다 공급은 비가 내려 직접 대기에 떠다니는 물질이 들어가거나 강물을 통해 ... ...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우주왕복선이나 보이저호 등 태양계탐사선을 쏘아올리는 로켓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결국
로켓의 선도 역할은 우주개발이 맡고 그 실질적인 수혜자는 군사용미사일이었던 것이다.그런데 80년대 들어 상황은 변하기 시작했다. '밑빠진 독에 물붓기'란 비난을 받아 왔던 우주개발 열기가 식어가고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훌륭했던지 그를 밝은 별자리로 만들려고 했을 때 공간이 없었을 정도였다. 제우스는
결국
그를 잘 보이지 않는 남쪽 하늘에 올려 놓을 수 밖에 없었는데 그것이 바로 하늘의 또다른 켄타우르인 켄타우루스자리(Centaurus)이다. 켄타우르의 모습과 그가 하늘에 올려진 신화는 단조로운 찻주전자에 비해 ... ...
이전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