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d라이브러리
"
지금
"(으)로 총 9,479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지도로 다시 보는 한국사
과학동아
l
200410
정확한 발음이 유럽에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 지도를 보면 조선의 국경이
지금
까지 알려진 압록강과 두만강이 아니라 그보다 더 위쪽으로 그려져 있다. 청나라 황제 강희제는 1712년 청과 조선의 국경을 정하라고 명령했다. 몇 년 뒤 임무를 받은 만주 총관 목극등이 백두산에서 압록강과 ... ...
서울대 화학부 백명현
과학동아
l
200410
아름답게 사는 비결이라고 얘기하는 백 교수.“가장 중요한 것은 보이지 않는 것이야.”
지금
도 틈틈이 떠올리는 ‘어린왕자’의 이 구절은 백 교수를 끊임없이 새로운 모험으로 떠나게 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우리 청소년들이 어린왕자처럼 순수하고 맑게 살기를 바라는 마음과 함께 ... ...
여성이어서 지워지고, 다시 기억되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0410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여성의 이름이 역사에 남아있지 않은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그래서 기억할만한 여성이 없다는 결론은 비슷하다. 과학계 역시 ... 현실은 어떤가”라는 질문에 “그때와는 다르다”고 분명하게 대답할 수 없는
지금
의 현실이 무엇보다 이 책의 의미를 되새겨 보게 한다 ... ...
몸은 어떻게 통증을 느낄까
과학동아
l
200410
데면 살짝 만져도 아픈 이유 통각을 느끼는 메커니즘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지금
까지는 1965년 캐나다 로널드 멜자크 박사와 영국 패트릭 D. 월 박사가 발표한 ‘문 조절 이론’(gate control theory)으로 설명되고 있다. 이 이론의 핵심은 굵은 촉각신경이 가느다란 통각신경을 억제한다는 ... ...
X선으로 본 요동치는 우주
과학동아
l
200410
발진했다. 지난 5년 동안 찬드라 망원경은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지금
까지 찬드라가 보내온 영상을 통해 밝혀진 우주의 비밀을 살펴보자. 초신성 폭발의 장관 중계 찬드라 망원경의 이름은 인도 태생의 저명한 천체물리학자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Subrahmanyan Chandrasekhar ... ...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l
200410
부족해지면 남는 것은 서로 죽이고 죽는 비극이다.이상훈 대안에너지센터 사무국장은 “
지금
은 석탄 석유 등 ‘탄화수소 문명’이 저물어가는 시기”라며 “에너지 전쟁과 생태 재앙을 피하기 위해서는 발전을 중요시한 20세기의 에너지 사용 형태를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류는 ... ...
현대인에게 필요한 것은 운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410
한다. 반면 신체활동은 우리 몸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개념으로 이용돼야 한다. 단지
지금
의 육체적인 상태가 더욱 활동적으로 움직인다는 뜻이다. 이런 방법을 통해서 만이라도 우리는 충분히 건강해질 수 있다. 이는 많은 과학자들이 굳게 믿고 있는 바이기도 하다. 지속적인 충분한 신체활동만이 ... ...
만약 전선이 모두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10
퍼져있는 전선 덕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분명 많아졌다. 허준이 살았던 시대에
지금
처럼 전선이 곳곳에 깔려 있었다면 그는 밤에도 맘껏 책을 볼 수 있었을테고 멀리 떨어져있는 환자를 진료하러 가느라 며칠 동안 다리품을 팔지 않아도 됐을 것이다. 전선은 문명의 발전에 있어 핏줄과도 같은 ... ...
국내연구진, 광결정 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0410
있다. 이 기판에 아주 작은 양의 전류를 흘려주면 빛이 증폭돼 레이저가 발생한다.
지금
까지는 레이저를 작동시키기 위해 다른 레이저가 필요했지만 이 장치는 전기만 연결하면 레이저를 구동할 수 있어 실용화에 유리하다. 또 이 레이저는 빛이 만들어지는 공간을 매우 작게 만들 수 있어 레이저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10
일을 견딜 수 없다. 팔 힘도 약해 무거운 것은 제대로 들 수 없다.오 교수는 “작지만
지금
보다 월등히 강한 모터, 가벼우면서도 탄탄한 뼈대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번 충전해 반나절은 움직일 수 있는 배터리도 나와야 한다.그는 3년 전 인간형 로봇 연구에 뛰어들면서 이론보다는 직관으로 ... ...
이전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