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행성 많아 외계인 발견 확률 높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는 항성에는 평균적으로 1.6개의 행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발표
했답니다.우리 은하인 은하수에는 태양처럼 빛을 내는 항성이 1000억 개가 넘어요. 1994년까지만 해도 행성이 있는 항성은 태양 외에는 발견하지 못했어요. 하지만 우주 과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수많은 행성을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월터 피츠는 ‘신경 활동에 내재한 논리 계산법에 대한 아이디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
했다. 그들은 뉴런이 컴퓨터의 기본 단위인 논리 게이트와 마찬가지로 논리 계산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컴퓨터는 논리 게이트 수백만 개 이상의 집합이고, 뇌는 뉴런의 집합이니 뇌 또한 컴퓨터와 다를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대한 연구를 꾸준히 하고 있다. 가장 흥미를 끈 연구는 2002년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발표
된 것이다. 핵심은 힘 센 장사나 10살 소녀나 구기는 정도에는 별 차이가 없다는 내용이었다.한번 종이를 구겨보자. 그러고 나서 좀 더 작게 구겨보자. 점점 힘들어진다. 마치 단단한 물체인양 더 이상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주위를 보니 학문 사이의 융합이 강조되는 시대가 됐으니까요.” 지금까지 서 교수가
발표
한 160여 편의 논문은 더 큰 도약을 위한 서막에 불과하지 않을까 ... ...
나는 왜 빛이 있는지 알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내려앉았나. 베테가 그 이유를 안다. 일설에 의하면, 그가 이 연구 결과를 얻었지만 아직
발표
하기 전에 그의 약혼녀와 밤바닷가를 거닐고 있었다고 한다. 약혼녀가 말하길, “자기, 별이 참 예쁘지.” 베테의 답. “응. 그리고 난 그 이유를 알아.” 1930년대 중반, 베테는 빛의 근원을 아는 역사상 ... ...
당당하게 자신을 드러내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길렀다.자기주도적 학습토요일마다 친구들과 모여 과학 주제를 정하고 조사해서 서로
발표
하는 활동을 했다. 점차 범위가 넓어져 선생님께 허락을 받고 친구들끼리 과학실에서 실험도 했다. 그러다가 2학년 때는 정식 동아리로 승격됐다.하연 양은 자기 주도적으로 공부했다. 고등학교에 들어온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흉내 낼 수 없다.IBM은 어떤 방법으로 이를 구현했는지 공개하지 않았다. 하지만 IBM의
발표
직후 영국 BBC는 리차드 쿠퍼 런던대 인지과학과 교수의 말을 인용해 정보의 중요성에 따라 주의를 기울이는 정도를 다르게 하는 방식을 썼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결을 강하게 만들거나 약하게 만드는 대신 ... ...
자폐증 위험 생후 6개월이면 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6개월 때 얼굴표정이나 눈의 움직임 같은 증세로 자폐증을 판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지만, 뇌에서 차이점을 발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자폐증은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거나 상대를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한 신경발달 장애다. 병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 ...
[hot science] 그 위성은 왜 죽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토성 고리가 생겼을 당시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추측해 ‘네이처’2010년 12월 10일자에
발표
했다. 토성의 위성이 토성에 흡수될 때 위성 표면을 싸고 있던 얼음층이 떨어져 나와 고리가 됐다는 내용이다.위성이 행성에 흡수되는 일이 생길 수 있을까. 만유인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 ...
2012 FLL KOREA 현장 속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있다. 각 팀별로 ‘식품’에 관련된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발표
한다. 프리스팀은 생선의 유통기간을 늘리는 방안을 찾아보기로 했다. 팀장인 김정복 학생(경기 안산시 석호중 3학년)은 ‘생선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증식을 막으면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했다. 이어 ... ...
이전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