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곰스쿨, 과학동아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 생명과학(이정화 강사) 그리고 지구과학(김지혁 강사)에서 5명의 강사가 참여하고 있다.
지난
해 12월 8일 곰스쿨은 과학동아 기사를 교재로 사용한 동영상 첫 강의를 내보냈다. 1월 17일 현재 엘니뇨, 우주여행, 조류인플루엔자, 마스터 유전자 등 7개의 동영상 강의가 올라와있다.이 중 마스터 유전자 ... ...
봄 같은 겨울이 왔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곳곳이 지구온난화로 몸살이다.뉴욕은 1877년 이후 처음으로 눈 없는 12월을 보냈다.
지난
4년간 뉴욕의 겨울철 평균 강설량은 101cm였다. 스페인 북부 산악지대에선 겨울잠에 들어갔던 곰들이 며칠 만에 깨어 어슬렁거리고 영국 하늘에는 벌과 나비가 날고 있다. 세계기상기구는 유럽의 올 겨울 기온이 ... ...
해적왕 잭의 지도정복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항로를 개척하기 위해 스페인을 출발한 항해사 마젤란은 대서양을 건너 남아메리카를
지난
후 태평양을 통과해 필리핀까지 항해를 계속하였다. 이 세계 일주는 1521년 필리핀 막탄 섬에서 마젤란이 죽으며 막을 내리지만 덕분에 유럽인들은 알려지지 않았던 태평양 항로를 개척할 수 있었다. ... ...
2006 과학계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최초 32기가 낸드 플래시메모리 개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지난
12월 14일 2006년 국내 과학기술 10대 뉴스를 발표했다. 삼성전자가 9월 세계 최초로 40nm(나노미터, 1nm=${10}^{-9}$m) 32기가비트(Gb) 낸드 플래시메모리를 개발한 소식이 1위로 선정됐다. 반도체 강국의 위상을 높였다는 것이 선정 ... ...
[천문우주]태양계 밖 외계행성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최초로 태양계 밖 행성의 낮과 밤 온도차를 측정했다. 이 결과는
지난
10월 27일자 사이언스에 발표됐다.천문학자들은 1995년 10월 처음으로 태양계 바깥에서 행성을 발견한 뒤 지금까지 200개가 넘는 외계행성을 찾았다. 대부분 기체 성분인 이들은 목성 정도의 질량을 갖고 수성의 ... ...
슈퍼독감의 조상, 조류인플루엔자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H2형이 더 위험할 수 있다는 또 다른 분석도 했다.독감 바이러스로 생긴 판데믹은
지난
90년 동안 세 차례 있었다. 가장 큰 판데믹은 1918년에 나타난 스페인독감(H1N1)으로 5000~1억명에 달하는 사람이 사망했다. 1957년에 유행한 아시아독감(H2N2)은 100만명이, 1968년 유행한 홍콩독감(H3N1)은 70만명의 목숨을 ... ...
30년만에 독일서 재회한 대형전파망원경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때문이었다. 마을 어귀에만 가도 커다란 전파망원경이 야외음악당처럼 보인다.30년이
지난
뒤인 2006년 10월 26일 필자는 에펠스베르크 100m짜리 전파망원경을 다시 바라볼 수 있었다. 다음날인 27일 한국천문연구원이 본에 있는 막스플랑크 전파천문연구소와 양해각서 조인식을 갖는 덕분이었다. 3 ... ...
엘리베이터 안에서 휴대전화 '먹통'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0이 아니므로 전자들은 전기력선을 따라 전기장이 0이 될 때까지 움직인다. 시간이
지난
뒤 전자들이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되면 이 공간 안에 알짜전하는 없게 된다. 즉 도체 내부에서 임의의 폐곡면을 잡았을 때 그 안에 전자는 없어야 한다!물론 이 결론은 금속덩어리 내부의 어떤 닫힌 공간에도 ... ...
히말라야 1000년마다 대지진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방출하기 위해 히말라야에서 1000년마다 리히터 규모 8.4~8.6의 대지진이 반복된다”고
지난
11월 9일자 ‘네이처’에 발표했다.빌햄 교수는 “리히터 규모 8보다 작은 히말라야 지진은 티베트 내부의 대륙 간 충돌 에너지를 모두 방출할 만큼 크지 않다”며 “리히터 규모 7 이상의 지진이 난 지역은 ... ...
'새대가리' 같지 않게 똘똘한 비둘기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국립중앙과학연구소는 비둘기가 1000개 안팎의 그림을 기억한다는 연구결과를
지난
11월 6일자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비둘기가 기억능력이 뛰어나며 기억에 근거해 행동방법을 배운다는 사실을 증명했다”고 말했다. 이전에도 조류가 기억능력이 있다고 알려졌으나 용량이 ... ...
이전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