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첨단 기술을 활용한 기반 확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오자, 건설 속도가 더 빨라진다. 3D프린터는 태양에너지, 자원 개발, 식량 생산 등에 사용될 플랜트 건설을 한다. 건설팀은 지구에서 원격으로 이 장치들을 조종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달 신도시 1호를 건설하라Part 1. 첨단 기술을 활용한 기반 확보Part 2. 우주 아파트 건설Part 3. ... ...
- Part 2. 우주 아파트 건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수 있다. 달 곳곳에 집광판을 설치하고 태양이 비치는 쪽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해서 사용한다. 햇볕을 받는 면은 뜨겁고, 그렇지 않은 쪽은 차가운 성질을 이용한 ‘열차이 발전소’도 지었다.이외에도 달 거주자들이 버리는 쓰레기를 재활용해 자원을 생산하는 플랜트, 이를 태워서 전기를 생산할 수 ... ...
- 우주기지 만드는 빅 엔지니어링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오다달기지 건설을 위한 기술은 우주에서만 쓰이는 것은 아니다. 이미 우리가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는 통신위성, 위성항법장치(GPS), 자기공명영상(MRI), 선글라스, 무선 전기드릴은 우주탐사 또는 우주 비행을 위해 개발된 것이었다. ISERI가 연구 중인 루나 콘크리트(Lunar Concrete)와 3D 프린팅 기술은 ... ...
- 동물행동학 - ‘도둑들’의 김혜수 능가하는 앵무새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따라해 자물쇠를 풀었다.아우어슈페르크 박사는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인간과 도구를 사용하는 침팬지만이 이런 자물쇠를 풀 수 있다”며 “피핀은 훈련받지 않고도 자물쇠 를 푼 첫 번째 동물”이라고 말했다.이미지 출처│ Alice Anerspreg ... ...
- 내 LTE만 느린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광대역폭 주파수와 다중안테나 기술로 866.7Mbps까지 속도를 끌어올릴 수 있다. 현재 사용 중인 와이파이 규격 ‘802.11 n’에 이은 ‘802.11 ac’는 LTE-A의 최대 5배가 넘는 속도로 2015년쯤 상용화될 예정이다.1.8GHz 주파수는 어디로LTE-A 없이도 통신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최근 정부가 경매에 부치겠다고 ... ...
- 빅데이터 시대와 데이터마이닝 기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기획, 인사보안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합니다. 예를 들어, 보안 관련 프로젝트로는 사용자의 타이핑 패턴을 이용해 비밀번호 외에 2차 인증을 하는 로직을 개발하는 것이 있습니다. 제조 프로젝트에서는 공장 설비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이용해 생산품의 불량이나 설비의 고장을 예측합니다. 그리고 ...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바이러스를 포함해 이런 바이러스들은 유전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RNA 가닥을 사용한다. RNA 바이러스는 감염된 숙주세포 안에서 자신의 유전정보를 복제할 때 먼저 이중가닥 RNA를 만든다. 그런데 이중가닥 RNA는 정상세포 안에서는 절대로 있을 수 없는 물질이어서 세포는 금세 바이러스의 공격을 ... ...
- 최강 홈런왕 미스터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페니 패터슨 박사에게 수화를 배웠다. 2000여 개의 수화를 배운 코코는 1000여 개의 단어를 사용해 자신의 의사를 직접 표현했다. 수화를 배운 코코는 ‘이가 아프다’처럼 자신의 의사를 직접 표현하기도 하며, ‘새를 보아라’라는 패터슨 박사의 수화에 ‘새’라는 단어를 표현하고 표정으로 의문을 ... ...
- 조선초기 호랑이는 물가에 살았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국내에서 고가의 물품을 거래할 때나, 국제무역에서 고액의 상품을 결제할 때 널리 사용됐다.그 많던 호랑이는 다 어디로 갔을까농지 개간과 사냥에 시달리던 호랑이는 결국, 19세기에서 20세기에 이르는 시기에 한반도의 중남부 지역에서 사실상 절멸했다. 19세기 후반 샤를 달레 신부는 ‘한국 ... ...
- UNIST의 힘은 세계 최고의 교수진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속도를 높였다. 배열을 3차원 구조로 바꿔 용량 문제도 해결했다. 이뿐만 아니라, 사용 시간을 5배 늘린 리튬이차전지 원천기술인 실리콘 나노튜브를 개발했고,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을 정도로 얇은 이차전지 기술을 개발했다.꿈의 신소재인 그래핀 역시 UNIST가 자신하는 분야다. 연구에 더욱 박차를 ... ...
이전5225235245255265275285295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