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연구진, 광결정 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하는 레이저가 국내에서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과 이용희 교수와 박홍규
박사
팀은 7일 “세계에서 가장 작은 지름 1백만분의 1m 크기의 레이저를 개발했다”고 미국 과학저널 ‘사이언스’ 9월 3일자에 발표했다. 특히 이 레이저는 도청을 막을 수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이 교수는 ... ...
누가 누굴 먹는거야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늘어날 수 있고 먹이는 마치 아코디언처럼 위 속에서 압축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잭슨
박사
는 “뱀이 먹이로 뱀을 좋아하는 이유는 공간적으로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이라며 “물론 도저히 소화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면 다시 뱉어낸다”고 덧붙였다 ... ...
북한, 토끼 복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알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스톤을 안내한 37세의 젊은 과학자인 연구소의 리학철
박사
는 “이 토끼는 당시 복제에 성공한 6마리 중 하나로 조만간 서구 과학자들에게 복제 동물임을 확인할 기회를 주겠다”고 말했다.한편 식량증산이 당면과제인 북한에서는 유전자변형농작물 연구도 한창이다. ... ...
물위를 걷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있다. 발을 수면 아래쪽으로 밀어내면 물이 다시 밀어내는 원리로 물위를 걷는다. 세티
박사
연구팀도 이에 착안했다. 로봇의 구조와 원리는 간단하다. 가벼운 탄소섬유와 플라스틱으로 몸체를 만들고 전기가 통하면 모양이 변하는 ‘압전장치’ 로 다리근육을 대신했다. 로봇을 움직이기 위한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투자해 개발한 것”이라고 말했다.또 아시모나 외국의 다른 인간형 로봇이 수많은
박사
급 연구원들이 매달려 이뤄낸 결과지만 한국의 두 발 로봇은 오 교수와 김정엽 씨를 포함해 실험실에 있는 몇명의 학생들이 이뤄낸 쾌거라고 강조했다. 앞으로 좀더 투자를 받으면 획기적인 발전을 이뤄낼 ... ...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미국과 일본은 2010년경부터 이 물질을 상업적으로 이용할 계획이다.지질자원연 류병재
박사
는 “2000년부터 울릉 분지에서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탐사해 유망한 지역을 조사했다”며 “내년부터 정밀 탐사와 시추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같은 연구소 허대기 부장도 “울릉 분지에 매장된 ... ...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아쉽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우주태양광 연구가 이뤄진 적이 거의 없다고 정
박사
는 말한다.핵융합 대 우주태양광, 과연 어떤 것이 먼저 출현할까. 핵융합은 온도 1억℃ 이상, 물질의 밀도가 1㎥ 공간에 1mg 이상, 핵반응 수초 이상이라는 3가지 극한 조건 만들어줘야 한다. 반면 우주태양광은 ... ...
플라스마로 중금속 가려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 조씨는 이번 연구를 더욱 발전시켜 석사학위 논문으로도 제출할 예정이다.윤
박사
역시 계속 이런 활동을 도울 생각이다. 특히 지난 8월 휘경여고 과학반 학생들과 함께 담배에 들어있는 중금속을 검출한 후 청소년들의 환경교육에 관심이 많아졌다. 학생들이 앞으로 담배에는 손도 대지 않겠다고 ... ...
물리학으로 교통체증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속도를 89-91km/h 사이에서 불규칙적으로 조절하도록 설정한 모델도 있다.그러나 이
박사
는 “기존 교통흐름 모델은 운전자의 심리를 너무 단순화시켰다”며 “사람은 자기 나름의 의도대로 행동하는데 운전자의 이런 인간적 요소가 교통흐름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이 만든 ... ...
다윈의 핀치 부리 다양성은 단백질 때문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따라 결정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 하버드대 의대의 발달생물학자 클리포드 타빈
박사
팀은 씨앗을 깨먹는데 적합한 둥근 부리를 갖는 핀치 3종과 과즙을 먹는데 알맞은 뾰족한 부리를 갖는 핀치 3종의 발생과정을 비교했다. 그 결과 두 집단 사이에 뼈형태형성단백질4(BMP4)의 발현 패턴이 ... ...
이전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