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최초"(으)로 총 6,449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봇, 3D로 공룡 연구해보니…‘쥬라기공원’ 허구가 아니네!2016.07.15
- 확인했다. 이 같은 내용은 과학학술지 ‘사이언스’ 8일자에 실렸다. 뭍에 올라온 최초의 고생물인 ‘익티오스테가’(왼쪽). 미국 연구진은 3D프린터로 익티오스테가와 닮은 로봇을 만들어 꼬리를 좌우로 움직이는 힘을 이용해 땅 위를 걸어다닌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오른쪽) - 사이언스 제공 ... ...
- 이건표 KAIST 교수, 영국 디자인학회 최고명예석학회원 선정2016.07.13
- 산업디자인공학과 교수 - KAIST 제공 이건표 KAIST 산업디자인공학과 교수(60)가 아시아인 최초로 영국 디자인학회의 최고 명예석학회원으로 선정됐다. 영국 디자인학회는 지난달 27일 영국 브라이턴에서 열린 50주년 기념 학술대회에서 이 교수가 세계 디자인 연구 발전에 기여한 공을 인정해 ... ...
- [과총 50주년]13~14일 ‘세계과학기술인대회’ 개최2016.07.08
- 둘러싼 사회, 경제 등 다양한 분야를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한국 과학자로서는 최초로 2013년 미국의 ‘과학·공학 명예의 전당’에 오른 이성규 오하이오대 석좌교수가 기조강연자로 나선다. 이 석좌교수는 동아일보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지난 50년간 국내 과학기술은 실로 눈부시게 ... ...
- [OX 퀴즈]“지진이 나면 책상 아래 숨어라?” 2016.07.06
-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건물 안에 있다면 우선적으로 밖으로 대피하는 것이 중요하고, 최초 지진 발생 시 1~2분 정도는 크게 흔들리기 때문에 떨어지는 유리창이나 간판에 다칠 수 있으므로 진동이 잦아든 후 밖으로 이동해야 한다. ● 알면 약! 모르면 안되는, 상황별 지진 대피 요령 1. 건물 ... ...
- [사이언스 바캉스 2016] 두 번째 준비물 ‘중력파’ ‘후성유전학’ 외과학동아 l2016.07.06
- 중력파 검출, 초읽기 들어가나? ☞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 ☞ 중력파 ‘최초 발견’을 넘어 ☞ 중력파 어떻게 관측했나 ☞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 4. 후성유전학의 세계 인간 게놈이 모두 해독된 지 10여 년. 이제 생명과학자들은 개인 게놈의 시대를 선언할 정도로 게놈 ... ...
- “목성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2016.07.06
- 핵의 존재 여부와 조성 상태를 알면 목성의 탄생 원리를 밝힐 수 있다. 목성은 태양계 최초의 행성으로 추정되고 있어 목성의 생성 과정을 알면 다른 행성 또한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행성과학그룹장은 “목성의 내부 구조를 확인하면 행성 ... ...
- 치사율 60% 패혈증, 우리 몸 속에 답 있었네2016.07.05
- 체내에서 대사를 조절하는 단백질인 ‘세스트린2’가 패혈증을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패혈증은 미생물에 감염됐을 때 미생물의 독소가 혈관 안으로 들어가 전신에서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치사율이 40~60%로 높다. 연구팀은 미생물과 같은 ... ...
-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수학동아 l2016.07.05
- 같은 예측 불가능한 일로 주식이 오르고 내리는 현상을 설명할 때 주로 쓰인다. 연구팀은 최초의 좀비 7명이 왼쪽 그림과 같이 왼쪽 상단에 모여 있다고 가정하고 랜덤 워크 이론을 적용했다. 그러자 좀비들은 서로 제멋대로 움직이면서 사방으로 흩어졌다. x: 좀비로부터 떨어진 거리(m), y : 좀비 ... ...
- 20년 전 오늘, 복제 양 ‘돌리’ 탄생2016.07.04
- 5일 태어난 돌리는 올해로 탄생 20주년을 맞았다. - 에든버러대 로슬린연구소 제공 세계 최초의 복제 동물인 복제 양 ‘돌리(Dolly)’가 탄생 20주년을 맞았다. 1996년 7월 5일 영국 에든버러대 로슬린연구소에서 태어난 돌리는 인간이 체세포 복제 방식으로 만든 첫 인공 생명체다. 돌리는 6년이라는 짧은 ... ...
- 수도권 방어 가능할까… 한반도 사드 배치에 대한 모든 것2016.07.03
- 가능할 걸로 해석하고 있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항공우주기계공학부 교수팀은 국내 최초로 사드의 성능에 대해 정량적적으로 분석했다. 장 교수팀은 “한반도는 종심거리가 짧아 요격 가능고도가 제한적이지만 상당부분 방어가 가능하다”며 “2대 정도의 포대를 복수로 설치하는 것이 ... ...
이전5215225235245255265275285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