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표정에서 진정한 융합의 파워가 선보일 새로운 세상에 대한 기대가 한껏 묻어난다.문
박사
는 요즘 과학자로서 자신의 역할이 달라질 때가 됐다고 느낀다. 연구실에서 실험장비와 씨름하며 훌륭한 논문을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중에게 과학을 알리는데도 한몫해야 할 시기라는 것이다.“과학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길》(1551)을 저술했다 1936~ 미국의 전파천문학자 휴스턴 태생 1961년 캘리포니아 공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963년에 벨전화회사의 전파천문 부분 연구원이 되었다A A 펜지아스와 함께 공중에서의 전파잡음을 측정하다가 3K의 우주배경복사를 발견했다1978년 펜지아스, 저온물리학에 업적을 올린 P L ... ...
정보통신부 장관 진대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이때의 생생한 경험 때문인지 진 장관은 “반도체는 총체적인 학문”이라고 단언한다.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미국 IBM에서 일할 때도 ‘틈만 나면’ 보직을 이전했다. 늘 새로운 프로젝트가 자신을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었다. 지금 수행하고 있는 장관직도 ‘어렵지만 새롭다’는 면에서 매력이 ... ...
밑밥 뿌려 먹이 부른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경우 없을 때에 비해 올빼미가 쇠똥구리를 10배나 더 먹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레비
박사
는 “올빼미는 굴 옆에서 많은 시간을 보낸다”며 “마치 물가의 낚시꾼처럼 먹이가 다가오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9월 2일자에 실렸다 ... ...
재미 과학자, 자연계 메탄 분해과정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분해해 온난화 속도가 다소 늦춰지고 있지만 그 메커니즘은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다.김
박사
는 “미생물이 몸밖으로 분비하는 메타노박틴이라는 물질이 구리와 결합하고 그 결합물을 미생물이 흡수한다”고 설명했다. 구리는 미생물에 들어 있는 효소와 결합해 기체 상태의 메탄을 액체 상태인 ... ...
“보라호, 말 탄 것처럼 흔들렸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앞으로 보라호는 어떻게 될까. 성봉주
박사
는 “보라호 개발을 맡았던 이종원
박사
는 심리적으로 피폐해진 상태”라며 “당장은 사고원인이 규명될때까지 중단되고 추후 상부에서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빠른 시일 내에 사고 경위가 명확히 밝혀지는 것이야말로 고인들에게 드릴 수 있는 마지막 ... ...
단백질 입체구조 밝혀 신약개발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구조를 밝혀낸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아다 요나드
박사
와 미 예일대 톰 스타이츠
박사
연구팀도 향후 노벨상을 기대할 만하다고 학계는 평가하고 있다. 단백질 구조를 밝히는 일은 그만큼 어렵고도 중요하다.연구실을 이끄는 이지오 교수는 “약 자체의 구조는알지만 약이 몸안의 단백질과 어떤 ... ...
03. 수소 경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엄청난 이권이 오가는 상황이 전개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에너지연구원 배기광
박사
는 “앞으로 수소경제 사회에는 미국과 일본, 유럽의 3자 구도에서 한국이 얼마만큼 비중을 차지할 수 있느냐가 과제”라고 말한다. 독자 기술을 서둘러 확보해야 한다는 얘기다. 그는 “이를 위해 분야별로 ... ...
혈관 다스려 난치병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부작용이 생길 위험도 있다.1996년 미 바이오벤처회사 리제네론의 조지 얀코풀로스
박사
연구팀은 ‘안지오포이에틴’ 이라는 단백질을 찾아냈다. 안지오포이에틴은 혈액이 새지 않는 튼튼한 혈관을 만든다. 혈관성장인자보다 더 나은 혈관 생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물에 잘 ... ...
몸은 어떻게 통증을 느낄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밝혀지지 않았지만, 지금까지는 1965년 캐나다 로널드 멜자크
박사
와 영국 패트릭 D. 월
박사
가 발표한 ‘문 조절 이론’(gate control theory)으로 설명되고 있다. 이 이론의 핵심은 굵은 촉각신경이 가느다란 통각신경을 억제한다는 것이다. 즉 촉각과 통각정보 모두 뇌로 향하는데, 자극을 먼저 감지한 ... ...
이전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