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달라이 라마, 포도밭을 가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먼저 들어와 있던 어린이들은 호기심 어린 눈으로 파란색 얼음을 쳐다보고 있었다. 이
곳
은 원래 사람이 들어올 수 없었지만 1996년부터 동굴을 만들어 사람들에게 개방하고 있다.가이드는 “빙하가 매년 조금씩 미끄러져 내오는 바람에 사람이 다니는 나무판을 매년 보수해야 한다”고 말했다.160 ... ...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벽, 의자 같은 주위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적외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
에서도 쓸 수 있다. 키넥트는 두 영상을 이용해 사용자의 몸을 입체 영상으로 만든다.사용자가 키넥트 앞에 서면 카메라가 위아래로 회전하면서 사용자의 몸을 스캔한다. 스캔이 끝나면 키넥트는 사용자의 입체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것처럼 우리가 성공하지 못하면 다른 데서는 절대 못한다고 말해요. 학생들도 다른
곳
에서는 절대 배울 수 없는 지식과 기술이 우리 연구실에는 있다는 자부심을 갖는 것 같아요.”나노 고분자를 만드는 원천기술과 이를 능숙하게 다루는 연구원들이 있어 고분자 재료 연구실에서 울리는 승전보는 ... ...
디지털 자물쇠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자물쇠와 열쇠는 지금도 널리 쓰이고 있다. 단지 지금은 사용하는
곳
과 쓰임새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바뀌었을 뿐 우리의 소중한 것을 지켜 준다는 사실은 여전하다. 10년 전만 해도 영화에서만 볼 수 있었던 열쇠가 이제 실생활에서 만날 수 있는 현실이 됐다. 앞으로 10년 ... ...
왜 국제수학자대회를 열려고 하는 걸까?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대회는 전 세계의 수학교사와 수학교육 연구자, 교육에 관심이 있는 수학자가 4년마다 한
곳
에 모여 펼치는 학술대회야. 수학교육과 관련한 국제 대회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지. 우리나라는 뛰어난 수학교육 수준을 인정받아 2007년에 이 대회의 개최지로 결정됐지.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발전뿐 ... ...
큰 소리의 대결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다. 전화벨 소리가 70dB, 소음이 심한 공장의 소리가 90dB, 1m 떨어진
곳
에서 듣는 자동차 경적소리가 110dB인 것과 비교하면 큰 소리임에 분명하다.이 때문에 20dB의 차이는 100배나 큰 소리를 뜻한다. 낮시간 확성기의 소음이 80dB을 넘으면 벌금을 부과한다. 90dB이 넘는 소리를 8시간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테크놀로지가 만든 ‘베어’는 몸을 최대한 낮춰 전쟁터에서 쓰러진 부상자를 안전한
곳
으로 옮긴다. 특수 임무 수행하는 다양한 로봇 등장이와 같은 로봇은 대부분 원격 조종으로 움직인다. 병사들은 로봇이 찍어 보내는 영상을 보며 로봇을 조작한다. 간단하고 병사들이 익숙한 조종 장치를 ...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자연상태에서 브라질너트나무의 씨앗은 어떻게 발아할 수 있을까요.이 나무가 자생하는
곳
에는 아구티(agouti)라는 고양이만 한 설치류가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녀석의 이빨이 워낙 억세 브라질너트나무의 열매를 깰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라는군요. 과피 안에는 10여 개의 씨앗이 들어 있기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나타날 수 없다. 하지만 뉴질랜드처럼 상대적으로 다른 나라와 분리된 해역에 있는
곳
은 독특한 해양생물이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의 고유종 수는 약6600종으로 이는 이 해역에서 발견된 총 생물종의 51%에 해당했다. 남극해도 45%에 이르렀다.한국은 일본, 중국과 근해가 가까이 붙어 있어 ... ...
바닷물 파래질수록 태풍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고 밝혔다. 식물플랑크톤 수가 줄어들면 햇빛이 바다 깊은
곳
까지 들어가 해수 표면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진다. 해수 표면의 온도와 심해의 온도의 차이가 감소하면 해수가 순환하는 패턴도 달라진다. 내니데시칸 박사는 “북태평양 아열대환류의 흐름이 변하면서 ... ...
이전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