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묵독
목독
방패
방패막이
사이
d라이브러리
"
간
"(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내는 인
간
의 코를 재현한 후각바이오센서의 개발이 가능하다. 필자의 연구실에서는 인
간
의 후각수용체분자를 이용해 코와 비슷하게 작동하는 후각바이오센서를 만드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냄새분자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후각수용체가 1차 트랜스듀서이고, 이들 결합을 감지하기 위하여 2차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밖에도 가상현실은 자동차 구조 시험이나 온도 변화 시스템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인
간
이 직접 체험할 수 없는 것들을 대신 체험할 수 있게 하는 강력한 도구라고 그는 덧붙였다.대중의 축제? 과학자들의 축제! 그렇다면 슈투트가르트의 여름과학축제에서 가장 인상 깊은 점은 뭘까? 흥미로운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차이는 분명하다. 오늘날 신경과학자들은 살아있는 뇌의 구조와 기능을 있는 그대로 실시
간
으로 조사할 수 있다. 그 중 한 방법이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촬영이다. 이를 이용하면 의미있는 말이나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뇌 부위가 어디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언어 전달과 같은 복잡한 활동에는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분야 역시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뻗어나갈지 전문가조차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 출
간
된 책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 개념, 적용, 전망’ 의 서문의 한 구절처럼.“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의 미래는 밝다. 다만 현재의 상상력으로는 그 모습을 그려볼 수 없을 뿐이다.”▼관련기사를 계속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붙인 뒤 그 주위에 방해석 결정이 자라게 한 것. 그 뒤 기둥을 녹여내자 10㎛
간
격으로 구멍이 뚫린 단일 결정이 얻어졌다. 만일 먼저 결정을 만들고 구멍을 뚫는 하향식 방법을 썼다면 이런 형태를 만들기가 대단히 어렵다.연구자들은 “마이크로나 나노패턴의 결정을 만드는데는 상향식 방법이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2002년 1월호에 발표했다.불안한 심리는 눈에서도 읽을 수 있다. 국립과학연구소는 조만
간
눈동자 움직임(EOG)의 변화로 거짓말 여부를 가리는 검사장치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효택 실장은 “인체는 심리 변화에 따라 몸 상태도 함께 바뀌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면 어떤 종류의 탐지기도 만들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있는 점을 생각해보면 그리 머지않은 장래에 RNA를 이용해 질병을 치료하는 등 RNA
간
섭을 통해 새로운 생명공학기술의 패러다임을 여는 시대가 오지 않을까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총 연구자 수가 1백80명에 달하는 이 사업은 과학기술부 신기술융합사업의 일환으로 10년
간
진행된다.세계적으로 생명과학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문 박사는 첨단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생명과학 선진국과의 경쟁에서 뒤지지 않으려면 새로운 도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단일 소자를 원자 ... ...
금성과 목성의 랑데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약 5° 가량 떨어져 있어 쌍안경에서 이 세 대상을 함께 볼 수 있다. 5일에 비해 두 행성
간
거리는 조금 더 멀지만, 달과 어우러진 모습이 환상적이다.행성의 만남은 12월에도 한차례 발생한다. 다만 그 대상이 목성이 아니라 다소 어두운 화성으로 바뀐다. 바로 12월 6일 금성과 화성이 약 1° 범위까지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연구 목표는 여전히 단백질 분해에 ATP가 필요한 이유를 규명하는 것이었다.미국에서부터
간
세포추출물을 사용해 연구했던 허쉬코 박사는 1977년 미 하버드대 알프레드 골드버그 박사에게 힌트를 얻어 적혈구추출물을 사용해 보기로 했다. 세포 내 소기관인 리소좀 내에는 많은 단백질분해효소가 ... ...
이전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