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뚝딱뚝딱' 인공위성 DIY시대
과학동아
l
200710
띄우는 인공위성 DIY 시대가 우리 앞에 성큼 다가왔다. 우리도 캔샛 만들어요 일본이나
미국
같은 위성 선진국에 비하면 우리나라의 인공위성 교육은 전무한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학생들에게 인공위성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는 일이 훗날 우리나라를 ‘우주강국’으로 만드는 첫 ... ...
HDTV 다음은 3DTV
과학동아
l
200710
듯한 입체감을 줬다.이미 선진국에서는 HDTV의 다음 주자로 3DTV를 꼽고 있다.
미국
에서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AT&T, MIT 등을 중심으로 항공 우주, 방송 통신, 국방, 의료 같은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3차원 디스플레이를 개발 중이다.유럽에서는 1996년부터 DISTIMA 프로젝트를 통해 영상 회의용 3차원 . ...
유비쿼터스 세상 앞당기는 증강현실
과학동아
l
200710
LCD모니터로 바뀌고 카메라나 수많은 센서도 가벼워져 헬멧크기로 작아졌다. 1990년
미국
보잉사의 엔지니어 톰 커델은 수만 가지에 이르는 부품을 이용해 항공기를 조립할 때 부품의 위치를 HMD의 화면을 통해 항공기의 적정한 위치에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장치를 개발했다. 그는 이 연구를 발표한 ... ...
예비우주인과 팀워크가 중요
과학동아
l
200710
올드린도 두 사람에게 ‘팀워크’를 강조했다. 올드린은 1969년 닐 암스트롱과 함께
미국
달탐사선 아폴로 11호를 타고 인류 최초로 달 착륙에 성공한 우주인으로 1953년 한국전에 참전한 경험이 있어 유달리 한국에 애정이 많다.그는 첫 한국 우주인에 뽑힌 고 씨에게 “우주선을 타고 우주에 올라가면 ... ...
적게 먹으면 오래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0
오래 살아요. 동물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는데 적게 먹은 동물이 무려 40%나 오래 살았죠.
미국
소크연구소의 앤드루 딜린 박사가 최근에 그 이유를 밝혀 냈어요. 동물의 몸 속에 있는‘파-4’라는 유전자 덕분이었어요. 음식을 적게 먹으면 이 유전자가 활발하게 움직이면서 수명을 늘려 준다고 해요. ... ...
사이언스 시간여행 과거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0
생물에 이름을 붙이는 방법이다.1889년 5월 25일헬리콥터를 발명한 이고르 시코르스키 출생
미국
의 항공기 제작기술자. 평생 동안 대형 항공기와 헬리콥터 개발에 주력했다. 1931년 헬리콥터에 대한 특허를 등록하면서 헬리콥터가 지금처럼 실용적인 교통기관이 되는 데 크게 기여했다 ... ...
온실가스 늘리는 지렁이?
과학동아
l
200710
화학물질인 큐틴이 적게 함유돼 있다는 사실을 8월 22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
미국
화학회’에서 발표했다. 필리 교수팀은 지렁이가 없는 숲과 지렁이가 많이 사는 숲의 토양을 6개월간 비교·관찰했다. 그 결과 지렁이가 많이 사는 토양은 큐틴 함유량이 적었고, 대신 리그닌이라는 물질이 많았다. ... ...
무인비행기 '제퍼'(Zephyr) 최장시간 비행기록 달성
과학동아
l
200710
북을 가리킨다 군사용 등으로 인공위성 궤도에 투입할 장치가 급증하고 있으므로,
미국
은 1기당의 값은 비싸지만 100회 이상 사용하기 때문에 값싸게 먹히는 이 유인(有人)로켓을 개발하였다 시계열 데이터를 가진 순환적 요소의 세기를 분석하고, 데이터 변동의 배후에 있는 주기성을 명확히 밝히는 ... ...
빙산은 이산화탄소 킬러?
과학동아
l
200710
참사를 훨씬 능가할 것이다.지난 6월 22일자 온라인저널 ‘사이언스 익스프레스’에는
미국
몬테레이만 아쿠아리움연구소 케니스 스미스 박사팀이 남극 웨델해 빙산 2개를 추적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 놀랍게도 바다를 표류하는 빙산 주변에는 다양한 해양생물이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 ...
가을들판 三色이야기
과학동아
l
200710
것”이라고 설명했다.쌀알의 색깔도 인류가 선발한 특징이라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미국
코넬대 수전 매코치 교수와 충북대 조용구 교수, 농촌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 박용진 박사 등 한·미 연구팀은 흰쌀이 붉은색을 만드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일어난 결과라고 밝혔다. 연구자들은 우리가 ... ...
이전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