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611건 검색되었습니다.
고(古)게놈학 30년, 인류의 역사를 다시 쓰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1
시베리아지회 회장인 저명한 고고학자 아나톨리 데렌비안코로부터 쌀알 두 개 크기인
작은
뼈조각을 하나 받았다. 알타이산맥의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굴한 인류의 뼈(아마도 어린아이)였다. 2009년 12월 3일 미국의 한 학회에 참석 중인 패보 박사는 전화를 받고 깜짝 놀랐다. 시료(불과 30밀리그램! ... ...
거친 표면에서 더 빨리 자라는 뇌신경세포
과학동아
l
2014.03.31
알아낸 것. 연구팀은 실리카(이산화규소)로 수 백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크기의
작은
구슬을 만들고 이를 이어붙인 신경세포 크기의 기판을 만들었다. 여기에 신경세포를 붙인 실험에서 실리카 구슬의 크기가 커질수록 신경세포의 성장속도가 한층 빨라진다는 것을 알아냈다. ... ...
[채널A] 우주선 온 ‘농구공’…역대 최대 운석 발견
채널A
l
2014.03.31
2배 이상 무겁습니다. 첫 운석이 발견된 곳에서 남서쪽으로 1.5㎞ 떨어진 진주시 집현면의
작은
개울에서 발견됐습니다. [인터뷰 : 김만식/운석 최초 발견자]TV에서 보는 것처럼 불에 탄 흔적도 보이면서 울퉁불퉁하고..그 당시는 운석이란 생각을 못했지만.. 진주에서 발견된 다른 세 운석과 ... ...
진주 운석 궤도·크기 밝혀질까
과학동아
l
2014.03.28
석질운석과 철이 풍부한 철질운석으로 분류된다. 미분화 운석은 분화가 일어나지 않은
작은
혜성이나 우주를 떠도는 암석 덩어리에서 떨어져 나온 것을 말한다. 이번 진주 운석은 미분화 운석 중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는 ‘콘드라이트 운석’으로 밝혀졌다. 운석을 쪼개면 방울 모양의 작고 ... ...
[총장, 대학을 바꾼다]다국적 기업과 R&D센터 설립, 제2의 퀴리부인 탄생 기대하길
동아일보
l
2014.03.27
비단잉어를 예로 들며 이화여대의 특징을 설명했다. 코이가 어항에서는 5cm의
작은
물고기로 남지만 강물에서는 2m의 대어로 자라는 것처럼 여성이 이화여대를 만나면 큰 인재로 자랄 수 있다고 했다. 김 총장은 이화여대가 남녀공학 대학의 역할을 똑같이 하면서 여성 지도자를 양성할 수 있는 비결 ... ...
[청년드림]“목표물 맞지 않아도 과감히 방아쇠 당겨라”
동아일보
l
2014.03.26
미래부 2차관이 말하는 ‘이스라엘 창조경제’ “발사되기 전의 총알은 그저 50g짜리
작은
쇳덩어리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방아쇠를 당겨서 이 총알이 발사됐을 때 그 폭발력이란 무시무시하죠. 창업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나라 젊은이들 안에 숨겨져 있는 총알을 두려움 없이 발사해야 합니다. ... ...
태초에 우주는 급팽창했노라!
동아사이언스
l
2014.03.25
없게 된다. 중력파 직접 검출한 것은 아냐 우주가 인플레이션으로 원자핵보다
작은
크기에서 축구공만큼 커졌다. 이 크기의 우주는 현재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우주보다 큰 것이다. 인플레이션은 모든 종류의 입자들과 미세 요동들을 발생시켰는데, 이때 중력파도 생겼다. 서울대 천문학과 ... ...
휘어지는 태양전지, 신문처럼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14.03.25
금속 필라멘트 나노전극을 만들어 직렬 배열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작은
유기 태양전지들을 직접 전극으로 연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고안한 것이다. 실제 이 같은 태양전지 제작기술을 적용한 결과 제작 기판의 단위 면적당 태양전지의 유효면적이 20~30% 늘어났다. 같은 ... ...
‘맞춤형 신약’ 개발 속도전 가능해졌다
과학동아
l
2014.03.24
세포를 얇게 펴서 만든 ‘세포칩’을 붙여 반응을 확인했다. 칩 위의 미세 입자는
작은
공간 속에서 항암제를 방출해 세포와 반응했는데, 미세 입자에는 약물의 이름이 쓰여 있어 어떤 약물이 세포를 죽였는지 알아 볼 수 있었다. 결국 수많은 약물의 효과를 간단히 세포의 생존상태를 알아보는 ... ...
예상보다 작고 강한 '놈'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3.23
황금빛 선 하나가 커다란 눈동자를 중심으로 빙글빙글 돌며 주변을 ‘훑어’가며, 아주
작은
움직임이라도 잡아내겠다는 듯 눈동자가 번뜩인다. 앤드루 휴버먼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주립대 생물학부 교수팀은 망막 속 ‘방향선택신경절세포’(DSGC)가 주변 사물의 방향과 위치를 인지해 ... ...
이전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