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뉴스
"
미국
"(으)로 총 24,429건 검색되었습니다.
필즈상 품고 입국 허준이 교수 “수학은 가끔 적당히 포기할 줄도 알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7.08
공부하고 연구했으면 좋겠어요.”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 영예의 주인공인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고등과학원 석학교수)는 8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에 입국하며 수학자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한마디 해 달라는 요청에 이같이 말했다. 허 교수는 “수학은 꾸준히, 진득하게 붙잡고 앉아서 ... ...
티렉스보다 2000만년 전 출현 ‘도플갱어’ 공룡 확인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8
앞다리를 지니게 됐다는 게 연구진의 추론이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는 메튜 카라노
미국
스미소니언국립자연사박물관 공룡 큐레이터는 “티렉스와 같은 신체 구조를 가진 공룡이 나왔다는 사실은 신체 구조를 만든 공통의 원인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또 메락세스 ... ...
웹 망원경 돕는 유도센서 이미지마저 "가장 깊은 우주" 포착
연합뉴스
l
2022.07.08
입증하는 첫 이미지를 공개하기에 앞서 7일 예고편 격의 '맛보기' 이미지를 내놓았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별과 은하를 담은 이 이미지는 웹 망원경의 '정밀유도센서'(FGS)가 포착한 것으로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결과물이라고 한다. FGS는 망원경의 정밀 과학장비나 이미지 장치가 특정 ... ...
“올해는 한국 수학의 해”
2022.07.08
후보로서 충분한 업적과 자격이 있는 젊은 연구자들은 더 있다. 수학계에선 오성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수학과 교수, 최경수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 등을 차기 필즈상 후보로 꼽고 있다. 국제수학연맹(IMU)이 한국 수학의 국가 등급을 4그룹에서 최고 등급인 5그룹으로 승격을 확정했다. ... ...
호암상 수상자 키스 정 교수 “미래 질병 치료 길 여는 유전자 가위 기술 발전의 실질적 공헌자들은 한국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8
사이언스 제공 유전자가위는 생명 정보를 담은 유전자의 특정 염기서열을 효소를 통해 잘라내는 유전자 교정 기술 중 하나다. 고장난 유전자를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활용한 인간 질병 치료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키스 정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 삼성호암재단 제공 ... ...
[우주산업 리포트] "2030년까지 우주 일자리 2만개 만든다" 호주 우주전략
2022.07.08
거쳐 디지털뉴스팀장을 지냈다. 한국기자협회 국제교류분과위원장을 지냈고 2021년
미국
우주 전문 매체 스페이스뉴스에 합류해 서울지국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
[의학바이오게시판]세브란스병원, 관상동맥질환 위험성 예측하는 AI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7.07
정확도를 보인 반면, 인공지능은 더 적은 변수로도 80%의 정확도를 보였다.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과학회 국제학술지 ‘뉴롤로지’ 최신호에 실렸다. ■강남세브란스병원은 석정호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이 우울증 및 자살과 관련된 생물학적‧심리적‧사회적 요인의 종합 평가를 위한 ... ...
코로나19 재유행 조짐…4차 접종 확대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7.07
대상으로 4차 접종을 승인했다. 곧이어 60세 이상 고령자 전체로 대상자를 확대했다.
미국
은 12세 이상 면역저하자 및 50세 이상 연령층에 대해 4차 접종을 ‘허용’하다가 최근 ‘권고’로 권고 수준을 높였다. 캐나다는 온타리오주가 지난해 12월 면역저하자 등을 대상으로 4차 접종을 실시했으며, ... ...
누리호 2027년까지 반복발사해 기술 민간이전…한화-KAI 2파전
연합뉴스
l
2022.07.07
및 임무 운영 계획안도 보고됐다. 다누리는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탐사선으로 8월 3일
미국
의 발사장에서 발사된 뒤, 4∼5개월의 항행을 거쳐 올해 12월에 달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다. 오태석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누리호 2차 발사 성공을 통한 국민적 지지 확보, 우주개발진흥법 개정을 통한 ... ...
오늘 밤 버스 크기 소행성 달보다 훨씬 가까운 거리 통과
연합뉴스
l
2022.07.07
분석됐다. 2022 NF는 지구에 근접해 지나가지만 잠재적 위험은 없는 것으로 제시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구에서 750만㎞ 이내를 지나가는 140m 이상 크기의 소행성을 '잠재적 위험 소행성'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런 크기의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면 2013년 2월 15일 러시아 첼랴빈스크 운석 ... ...
이전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