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에 음파쏘아 지구 온난화 측정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변수는 온도다. 먼크박사는 만약 해수면의 온도가 예상대로 올라간다면 매년 음속은 0.25
초
정도 빨라질 것이라고 예측한다.한편 음파를 쏘아보내는 과정에서 연구팀은 바닷물의 특별한 층이 마치 의사의 청진기처럼 음의 통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층의 길이는 지역에 따라 다르며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또 미국 일본 유럽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인 과학자들을
초
빙하고, 앞으로 국내에서 가속기를 사용할 학계 산업계 연구소의 인력들을 모아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토론하는 작업도 벌인다. 여기에는 이론물리학자를 비롯 반도체공학자 재료공학자 의사 생화학자 등이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유전공학육성법이었는데, 당시 민정당 의원이었던 이상희씨가 제안한 이 법은 국내 최
초
의 과학기술 육성법으로도 유명하다.유전공학육성법은 유전공학센터를 KIST 부설로 제한하고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독립한다는 전제도 함께 담고 있다. 따라서 KIST 부설이란 접두어를 떼내는 것도 시간문제다. ... ...
돌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돌고래가족들에게 뜻하지 않은 사고가 일어났다. 돌고래쇼가 시작된지 2년 뒤인 86년
초
에 3남매중 둘째 고리양이 병사한 것이다. 너무나 애석하고 원통한 일이었다. 사인(死因)은 해부결과 난소낭종으로 밝혀졌다. 그렇다고 돌고래쇼를 중단할 수는 없어 할 수 없이 석달 뒤에 거액 6천만원을 주고 잘 ... ...
다시 주목받는 갈륨비소반도체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형편이다.그동안 과학기술원과 전자통신연구소를 중심으로 화합물반도체에 관한 기
초
연구가 진행됐고 최근 해외에서 이 분야를 전공한 과학자들이 잇따라 귀국해 갈륨비소반도체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지만 기업들은 아직 투자를 망설이고 있는 상황이다.삼성코닝과 금성전선이 웨이퍼시제품을 ... ...
한글을 잘쓰는 요령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세번째 항목) : 현재 입력되어 있는 글을 자동으로 저장하는 간격을 지정한다. 단위는
초
이며, 0이면 자동저장을 하지 않는다. 최대값은 3천6백, 즉 1시간이다.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냥 0으로 놓는 것이 좋다.●탭설정(선택사항 메뉴 네번째 항목) : 탭위치를 지정하거나 취소한다. ... ...
푸른 장미의 등장은 시간문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활용해 장미 꽃잎을 푸르게 하는 실험이 착수돼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13세기
초
아랍의 농학자 이븐 알아왐은 그의 식물도감에 푸른 장미를 포함시켰으나 그동안 전설로만 전해내려 왔다. 아무도 푸른 색을 내는 장미를 발견하지 못해 진화론자들은 푸른 장미불가론을 성급하게 단정하기도 ... ...
가장 새로운 물리학─수리끈이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질량을 지닌)로 구성돼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 물리학자도 적지 않다. 더구나 우주 태
초
의 물리상태를 실험실에서 재현하기란 완전히 불가능하다.따라서 사람들은 우주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간접적으로 살피면서 수리끈이론과 맞춰보려고 한다. 이런 간접적인 접근방식도 결코 쉬운 방법은 아니다 ... ...
수직막대에서 전자주사 안테나로 진화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루프형 안테나는 장파 중파에서부터 극
초
단파의 주파수에 이용되고 슬롯형 안테나는 극
초
단파나 마이크로파의 주파수에 이용되고 있다.안테나의 설치방법은 전파의 편파 특성과 관계가 있다. 전파의 전계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전파를 수직편파라 하며, 수직으로 세운 수직안테나는 수직편파의 ... ...
히틀러를 악마로 만들어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우수한 아이디어가 생기고 △비판을 가하지 않으면 아이디어가 많아지는 등의 원리에 기
초
하고 있다.파울러의 얘기와 브레인스토밍의 배경을 생각해보면 우리의 전반적인 과학수준의 향상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사람이 과학에 대해 생각을 하고, 또 과학적 지식을 풍부하게 갖고 있어야 한다고 할 ... ...
이전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