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안경모양의 비디오 발명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방사하는 다이오드를 쓰며 안경은 인을 코팅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또한 주사선은 2
백
80개이며 1개 주사선은 7
백
20개의 화소(画素)로 구성돼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 ...
보헤미아 분지는 운석에 의해 생긴 것?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바쁘게 하고 있다.사진에서 보듯 유럽을 찍은 위성 사진에서 보헤미아지역은 직경 약 2
백
마일의 둥근 분지로 나타났다.이 사진에 주목해서 보스톤대학의 ‘마이클 파파지아니스’교수는 ‘프라하 분지’라는 논문을 미국 지구물리 학회에 제출했다.이 논문에서 그는 프라하분지는 과거 공룡을 ... ...
과거보다 10배나 선명한 금성사진 찍을듯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0℃나 된다. 납도 녹일 온도이다.대기압력은 지구보다 90배나 큰데 이것은 지구의 해저 9
백
m에서나 느낄수 있는 것이다.금성에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물은 오래전에 사라졌다. 땅의 굴곡은 심하지 않은 것 같아 2천m이상되는 산은 관찰되지 못했다.금성은 지구와 크기나 질량 그리고 태양과의 ... ...
베링해협에 우정의 다리 놓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나르고 사람들은 스키를 탔다.소련측 대표인 ‘폴 슈르케’씨는 “베링해협은 불과 1
백
50km 거리밖에 안된다. 그러나 우리는 직선 코스를 택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군데군데 얼음이 깨진곳이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하면서 탐험행위자체는 그렇게 위험하거나 어려운 일은 아니라고 말했다.그는 또 ... ...
part I 컴퓨터가 바꿔놓은 출판문화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체면이 서겠는가. 그나마도 컴퓨터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글자꼴이 겨우 10여종에 불과해 수
백
수천 종류에 이르는 영문이나 일본어의 서체에 비해 자유롭게 출판물을 제작하는데 애로를 겪고있는 실정이다.한글서체의 개발은 출판·인쇄업계의 영세성에 비추어 결코 민간차원에서 이루어지기 힘든 ... ...
해류, 기상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오른쪽으로 방향을 바꾸고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바람의 세기도 점점 작아진다. 수심 약 1
백
m 이상에서는 바람의 영향은 소멸된다. 바람의 영향이 뚜렷한 깊이를 마찰심도라고 하며 위도에 따라 이 값이 달라진다. 마찰심도까지의 해수층을 하나의 평판으로 보면 마찰심도보다 밑쪽에서 작용하는 ... ...
중국의 과학기술 정책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좀 긴 안목으로 세운 하이테크널러지 개발계획이다. 86년에 처음으로 전국에 있는 7
백
명의 전문가가 모여 하이테크널리지 심포지엄을 갖고 발전계획을 작성하였다. 그 계획에 의하면 서기 2000년까지 생물 화학 우주 통신정보 레이저 오토메이션 에너지 신소재 등의 각 분야를 발전시켜 간다는 것이다 ... ...
인간의 수명한계는 115~120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유전인자계에 영향을 주는 환경인자에 의해서 유전인자의 손상, 재생능력의 손실, 단
백
질합성의 오류 등이 발생해서 노화가 생긴다는 것. 따라서 노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노화에 관계하는 유전인자계를 규명해서 유전인자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인자를 제거해줌으로써 사람이 늙지않을 수 ... ...
올여름 날씨 냉해 등 위험 예상돼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관심을 집중시키면서 지구 대기의 복잡한 메커니즘을 설명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시속 3
백
km 이상인 편서풍은 북극을 중심으로 완만한 원을 그리면서 지구 주위를 돈다. 대체로 편서풍이 지나가나 지역은 해륙분포에 따라 한파가 몰아닥치는데, 유럽 북부 시베리아 미국 북동부의 매서운 추위가 ... ...
PART1 첨단 선박들에는 어떤 것이 있나?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공기저항밖에 받지 않으므로 추진이 쉬워져 훨씬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이 선박은 1
백
노트 이상(185km/h)의 고속이 가능하며, 여객 차량 컨테이너 등 고급화물 수송이나 고속정 상륙정 등의 군용선으로 활용키 위한 연구가 미국 영국등에서 이뤄지고 있다.■최소 수선면 쌍동선선형의 고속화 시킬 ... ...
이전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