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가방 끈 긴 사람, DNA가 다르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다른 DNA를 갖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다니엘 벤자민 교수를 주축으로 한 사회과학유전자협회 컨소시엄(SSGAC)은 유럽인 30만 명의 DNA 샘플을 이용해 학업 기간과 유전자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공부를 오래 한 사람들과 관련이 있는 유전자 변이 74개를 발견했다. ... ...
- [News & Issue] 가습기 살균제 사태, 노출계수를 따져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안전성 평가를 받지 않고, 속에 들어있는 화학물질의 이름을 기록해야 할 의무도 없다.이 교수는 “살균이 되면 무조건 좋다, 향기가 나면 무조건 좋다는 인식 자체를 바꿔야 한다”고 조언했다. 세균을 죽일 수 있는 성분이, 나에게는 이로울 것이라고 오해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호흡을 통해 ...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연구를 통해 새롭게 밝혀내야 할 사실도 그만큼 많다. 이미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DC-8과 기상 1호가 서로 다른 고도에서 대기질을 측정하면 서해상 오염물질의 농도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차 없애려면 섬세함 필요기자가 기상1호를 찾았을 땐 이세표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못한다는 단점이 있는데, 이를 지상에서 쏘는 레이저로 보완하겠다는 아이디어다. 루빈 교수는 “광자추진체를 이용하면 빛의 속도의 26%에 달하는 속도를 낼 수 있으며, 화성까지 3일도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NASA는 돛 대신 전자기장을 이용한 ‘이-세일(E-Sail)’을 실험하고 있다(과학동아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팔뚝에 있는 두 개의 길다란 뼈가 서로 X자로 교차하면서 팔 전체가 비틀리듯 돈다. 최 교수팀은 이 구조를 그대로 모방해 새로운 로봇 팔 골격을 설계하고 있다.기계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일체형의 작은 장치로 바꾸는 연구도 활발하다. 인공 와우나 인공 망막은 마이크로폰이나 카메라로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대한 대처를 우리는 간지럼에서 배울 수 있고 인공지능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김 교수는 “단순히 기존의 컴퓨터공학만으로는 인공지능을 만드는 데 한계가 있다”며 “행동은 환경과 상호작용해서 끊임없이 운동하고 피드백을 받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이기 때문에 살아있는 유기체를 참고할 ... ...
- [Career] “보이는 모든 것의 가치를 높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통해 임직원의 기업에 대한 소속감을 높이고 그 결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게 목표다. 정 교수는 “산업디자인이란 물리적으로 만져지는 제품뿐만 아니라 고객을 응대 하는 것과 같이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라며 “우리 사회의 모든 분야에 산업디자인의 가치가 녹아 있다”고 ... ...
- [과학뉴스] 3D프린터로 만든 인공 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만들어 쥐에게 이식해 본 결과, 별다른 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았답니다.강현욱 교수는 “이 기술은 잃어버린 신체 부위를 복원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그동안은 부모나 교사가 관찰한 내용과 설문지 등의 방법에만 의존했었다.김 교수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연구에 뇌 영상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위상적 데이터 분석을 처음으로 적용한 것”이라며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공동 연구자인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경성현 박사는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단 11%의 연구만이 재현된 것이지요.한편 2005년 존 이오아니디스 미국 스탠포드대 의학 교수는 의학연구의 대부분이 거짓이며, 참인 결과도 그 효과가 과장됐다고 주장한 연구를 발표해 의학계에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그 근거로 허술한 실험 설계와 지나치게 적은 실험 대상을 꼬집었지요. 이 논문은 ... ...
이전5205215225235245255265275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