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주도했다. 그는 “새로 개발한 투명전극은 전기 전도도가 커 스마트폰에서 주로 쓰는 1MHz의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도 안정적으로 지문을 인식했다”며 “정전식 디스플레이용 지문인식센서를 개발하는 데 이 투명전극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직진하는 음파의 특성상 향후 휘어지는 ... ...
- [로보트 재권V] 로봇팔을 달까, 말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넣겠습니다.정리해 보면, 어깨에 들어갈 3.5Nm급 모터 3개, 팔꿈치에 들어갈 1.8Nm급 모터 1개, 손목에 들어갈 0.6Nm급 모터 2개입니다. 그런데, 하나 더 생각할 것이 생겼습니다. 모터가 들어가면서 로봇팔이 들어야 할 무게가 더 생긴 것입니다. 어깨 모터는 팔꿈치 모터와 손목 모터 무게까지 모두 ... ...
- [인포그래픽] 까끌까끌한 고양이 혓바닥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개를 더 많이 키우고 있지만, 반려동물로 고양이의 인기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국내 1인 가구가 늘면서 집에 홀로 남겨지면 외로움을 타는 개보다 고독을 즐기는 고양이가 반려동물로 적합한 것도 한 이유일 것이다. 고양이는 혼자서도 잘 논다. 그리고 깨어있는 시간의 많은 부분을 자기 털을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j.gr.2016.12.0152029년까지 계속될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은 탐사광구 면적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2500km2를 최종 유망지역으로 선정하고 개발권을 신청할 예정입니다. 개발 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등 앞으로 넘어야 할 산이 많지만, 연구팀은 과학적 호기심과 국가적 필요를 동시에 ...
- [나의 영국 유학일기] 재시험 낙제하면 강제 휴학, 깐깐한 임페리얼칼리지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옮긴 임페리얼칼리지 학생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실제로 자퇴하거나 1학년 이후로 종적을 감춘 동기들이 꽤 많았다. 기숙사 옆방이 갑자기 비는 일도 몇 차례 겪었고, 강제 휴학 후 복학한 사람들도 여럿 만났다.졸업하는 건 어려운 일이고, 좋은 성적으로 졸업하는 건 더욱 어려운 ... ...
- 수학 인싸 되는 법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수학? 파티에 웬 수학이지? ▼이어지는 기사를 더 보려면?Intro. 수학 인싸 되는 법Part 1. 수학으로 흔들어봐! 매스 댄스Bridge 디제잉하는 수학 '인싸'들Part 2. 쇼미 더 매스! 수학과 랩의 ... ...
- [본격 게임 채널] 클래시 오브 클랜, 피타고라스 정리로 마법 잘 쓰기수학동아 l2019년 03호
- 겁니다. 건물을 얼려 작동하지 못하게 만드는 얼음 마법은 타일 1칸의 가로세로 길이를 1이라고 했을 때 손가락으로 누른 지점으로부터 반지름이 3.5인 원 안에서만 효과를 발휘합니다. 그래서 몇 번째 타일까지 원에 들어오는 지가 중요하죠. 스마트폰으로는 정확한 지점을 누르기 쉽지 않기 때문에 ... ...
-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 Black Hole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빛조차 빨아들이는, 그래서 우리 눈에는 그 형체조차 보이지 않는다고 알려진 블랙홀. 지금까지 우리가 봐왔던 블랙홀의 모습은 모두 상상도다. 그 누구도 블랙홀의 ...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 프로젝트,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Part3.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맞아 ETH는 두 개의 초대형 블랙홀을 관측해 얻은 영상을 최초로 공개할 예정이다. 지난 1년 간 까다로운 자료 처리와 분석을 거쳤고, 현재는 이를 정리하는 최종 단계에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EHT의 주요 망원경인 JCMT와 GLT의 관측, 그리고 자료 처리 및 분석 작업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또 ... ...
- [화보] 2월이 한여름이라고?! 남극의 여름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독자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 흔히 남극을 ‘미지의 세계’라고 해요. 1911년 노르웨이 탐험가 아문젠이 남극을 처음 밟은 이래 100여 년이나 지났지만, 아직까지도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더 많은 곳이지요. 남극 연구는 미래 지구환경을 예측하고 준비하기 위한 가치 있는 도전이라고 생각해요 ... ...
이전5195205215225235245255265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