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GPS 인공위성 이용 정밀한 위치 측정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55도의 경사각을 가진 총 6개의 궤도면에 4개씩 배치된 24개의 위성이 지구를 감싸는
형태
를 취하고 있어 지상 어디에서나 4개 이상의 위성이 보이도록 설계돼 있다. 우리나라에도 5개 이상의 GPS 위성이 항상 우리 머리 위를 지나가고 있다. 지상에 있는 사용자는 GPS 위성에서 보내 오는 전파 신호를 ... ...
1 촉감-인체 최대의 감각기관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01mm 두께를 인식할 수 있다. 능동적인 접촉에서는 보다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다양한
형태
의 형상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접촉 후의 감각은 수동적인 접촉의 경우가 훨씬 오래가기 때문에 의류 소재 등 신체와 접촉하는 재료의 접촉감은 쾌적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쾌적한 감촉을 ... ...
7 고급감-시대 문화적 배경까지 포함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시대가 변천함에 따라 고급의 개념도 달라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전쟁시에 개발된 지프
형태
의 차종은 레저가 중시되는 시대에 와서는 사회적 신분을 나타내는 고급차종으로 변화하는데 성공했다. 반면 고급시계의 대명사인 롤렉스는 여전히 고가의 제품이긴 하지만 모든 상황에서의 최고급은 ... ...
1 존재는 밝혀졌지만
형태
는 불확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질병을 치료할 때 침을 놓고 기를 얻는 목표점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경혈은 어떤
형태
를 가지고 존재하는 것일까.프랑스의 한 학자에 따르면 토끼와 인체의 경혈은 종 모양으로 몸의 약간 깊숙히 위치하는 콜라겐 구조이며, 여기에 나선모양의 혈관망과 콜린 동작성을 갖는 무수신경섬유가 ... ...
초신성폭발의 장엄한 피날레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구별할 수 있게끔 색깔을 입힌 것이다.나선은하는 나선팔 모양과 벌지의 크기에 따라
형태
학적으로 세분된다. 이러한 두가지 특성은 별탄생률(star formation rate)과 관계가 깊다. 곧 많이 감긴 나선팔, 뚜렷한 벌지, 낮은 별탄생률은 Sa형 은하를 대표하며, 그 반대 경향을 나타낼수록 Sd 은하에 가깝다. ... ...
수리 시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용두레 무자위 등은 대표적인 수리도구다. 이 도구들은 우리나라의 지형과 논밭의
형태
에 알맞게 고안된 도구들로 근대적인 양수기가 이용되기 얼마전까지만도 광범위하게 이용되던 농가의 필수품이었다.두레는 건널목인 둥근 나무의 한 끝을 논밭의 두둑에 얹어놓고 다른 한 끝은 기둥 세개를 ... ...
태초 우주 비밀 밝힐 원시헬륨 발견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탐지할 수 있을것"이라고 말했다. 수소 원자는 퀘이사에서 나오는 빛의 일부분을 특별한
형태
로 흡수할 것이다. 그리고 퀘이사는 거의 모두가 멀리 있기 때문에 여기서 나온 빛은 초기 우주의 조건을 반영하는 영역을 통과해 온다.꿩 대신 닭많은 과학자들이 원시 수소를 찾았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 ...
3 색채-인간은 1천만가지 색을 인식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다음과 같은 기본 원칙에 합당하도록 색채 계획을 진행했다.① 제품의 특성(기능 용도
형태
재질 등)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것.② 제품 이미지에 맞는 자기다움을 표시하는 색채를 사용할 것.③ 작업 및 생활환경의 쾌적성을 의도한 색채일 것.④ 개별색이 아닌 제품군 전체 속에서 사용 가능한 ... ...
95 노벨상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인간 태아의 초기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유전자는 몸의 중심축 형성을 비롯,
형태
형성의 방향과 위치를 결정해 개체가 정상적으로 발생하게 한다. 따라서 이 유전자들의 돌연변이는 자연유산의 중요한 원인(약40%)으로 추측된다.가령 비타민 A를 과다복용하면 특정 유전자(HOX)의 정상적 ... ...
1. 최초의 생명체는 언제 어떻게 생겼나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합성됐다 할지라도 이것이 생체를 위한 단백질이 될 확률은 거의 없다. 자연의 아미노산
형태
는 L형과 D형 2가지다. 그러나 생체에는 오직 L형만이 존재한다. 즉 자연적으로 D형이 생체에서 배제될 수는 없는 것이다.결론적으로 오파린의 가설을 기초로 한 밀러와 유레이의 실험은 자연발생을 통한 ... ...
이전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