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뉴스
"
과학
"(으)로 총 29,01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기자협회, 3분기 취재상에 '양자기술이 미래다', '한국서 공짜 진료받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3.09.18
있음을 느낄 수 있다”며 “대한민국의
과학
저널리즘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도록
과학
취재상을 계속 개선,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
“R&D 예산 삭감은 물론 연구실 안전사고 예산도 삭감”
동아사이언스
l
2023.09.18
삭감됐다는 것이다. 국회
과학
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정문 의원실은
과학
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6년간(2018년~2023년 7월) 연구실에서 발생한 안전사고가 총 1494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2022년 처음으로 300건이 넘었고 올해도 7월까지 214건의 ... ...
종양 진단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2종, 아시아권 첫 수출
동아사이언스
l
2023.09.18
PET) 등 방사선영상장비의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한 교정선원으로 활용된다. 중국
과학
원 소속 원자력분야 전문 연구소인 SINAP는 이번에 수입한 저마늄-68을 이용해 방사선 의학연구에 사용할 계획이다. 파키스탄에 수출한 지르코늄-89는 다른 동위원소보다 몸속에 오래 머물러 질병을 정확하게 ... ...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에 5년간 4800억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23.09.18
등 외국위성 전파관리 체계를 정비해 나간다. 위성과 지구국에 위한 혼신 사례.
과학
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위성통신에서도 ‘제2의 CDMA 신화’를 창출해 선진국 대열로 진입하고 디지털 대한민국의 차세대 네트워크를 완성할 것”이라며 “이번 ‘위성통신 활성화 ... ...
위성 위협하는 '태양 활동' 7월 최고조…"예상보다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23.09.17
합의했다. 60개의 서로 다른 예측 모델을 분석한 결과였지만 예측이 빗나간 것이다.
과학
자들은 이러한 예측이 실패한 원인 중 하나로 태양 에너지를 측정하는 장비의 낮은 성능을 꼽았다. 태양 에너지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태양 자기장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태양 자기장 관측 시설은 ... ...
인간 눈처럼 색 구분하는 '인공 망막'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3.09.17
눈과 같은 수준의 시각 기능을 가진 '인공 망막'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
과학
기술연구원(KIST)은 김재헌·송현석 센서시스템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과 김홍남 뇌융합기술연구단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인공 시각회로 플랫폼을 개발하고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 ...
KAIST 역대 최연소 교수 탄생…99년생 한수진 씨
동아사이언스
l
2023.09.17
및 제어 연구소(ARCL)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한 교수는 19세에
과학
기술 분야
과학
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학술지에 제1저자로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 ...
[부고] 김형준 한국
과학
기술연구원 차세대반도체연구소장 부친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9.17
◇김희철 씨 별세, 김형준 한국
과학
기술연구원(KIST) 차세대반도체연구소장 부친상=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 12호실, 발인 18일 7시. 02-2258-5940. ...
[기술패권 시대 우리말] ⑥풀어드립니다…양자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3.09.17
기술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승우 한국
과학
기술연구원(KIST) 양자정보연구단 책임연구원은 ""미래 핵심기술로 주목받는 양자정보처리 분야는 연구개발 단계를 넘고 산업 생태계 조성이 필요한 단계에 접어들었다"며 "산업 초기에는 기술 장점에 대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 '소리' 빨리 배우는 새가 문제해결력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17
사이언스 제공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 주 표지로 뭔가를 골똘히 생각하는 듯한 새 한 마리를 보여준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지능이 높은 '총명한' 새일수록 발성을 학습하는 능력이 탁월하다. 에리히 자비스 미국 록펠러대 현장연구센터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더 복잡한 발성을 학습 ... ...
이전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