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④ 미시세계에서 우주까지 설명하는 만물박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허용하는 양자논리학으로 발전하게 됐고, 수학에서도 양자기하학, 양자군이론 등 새로운
분야
가 탄생하게 된다.인터넷의 발달로 최근 많은 각광을 받고 있는 암호학은 해커들로부터 정보를 보호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학문인데 기존에는 대부분 인수분해 방법 (예를 들어 333,333,331를 인수분해하는 ... ...
게놈기능제어연구단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도움을 받아야 하고,분석에 컴퓨터가 많이 응용되는 점을 고려할 때 정보통신
분야
와 서로가 혼합됐을 때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그런데 이런 시너지 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휘할 사람들이 부족하다.젊은 학생들의 참여가 요구된다"며 생명정보학에 대한 지원자가 많아져 우리나라가 ... ...
빛으로 소리 전달하는 레이저통신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오래 전 우리 조상은 봉화를 이용해 광통신을 해왔다.오늘날의 광통신 수단은 레이저.소리를 레이저 빛에 실어 멀리까지 보내보자.과정3.레이저 통신 완 ... 상당히 먼 곳까지 소리신호를 전달시킬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광통신 기술은 정보통신
분야
에서 현재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 ...
라마와의 랑데부(Rendezvous with Rama)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모두 석권했다. 그리고는 곧 SF의 주요 테마 중 하나인 ‘최초의 접촉’(first contact)
분야
에서 고전의 반열에 오른다. 최초의 접촉이란 글자 그대로 인류가 다른 외계 문명과 처음으로 만나는 것을 의미한다. 상대방이 반드시 살아있는 외계인이 아니라 그저 다른 외계 문명이나 외계 생물의 ... ...
환경촉매연구실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제거해야 할 시점이다." 1978년 연구실이 처음 생긴 이후 20여년동안 줄곧 환경촉매
분야
에 몰두해온 임교수의 말이다.현재도 환경촉매는 이미 일상생활에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대부분의 사람들은 배기구에 촉매장치를 장착한 자동차를 타고 이동한다.특히 백금과 팔라듐으로 만들어진 삼원촉매 ... ...
1. 시간과의 끝없는 전쟁 기상예측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않는 전쟁을 치르고 있다.신형차 생산 기간 절반 이하로 단축기상예측뿐 아니라 여러
분야
에서 시간과의 전쟁에서 한발 앞서가기 위해 슈퍼컴퓨터가 이용되고 있다. 그중 하나가 자동차산업이다. 최근 ‘왜 이렇게 자주 신차가 발표되는 것일까’라고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자동차업계의 신형차 ... ...
고대 도시 폼페이의 부활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보면 초기 컴퓨터는 군사적인 목적에서 개발됐다. 그러나 현재 슈퍼컴퓨터가 사용되는
분야
는 일반인이 생각하는 정도를 뛰어넘어 점점 넓어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문화와 관련된 일이다.가령 미켈란젤로가 그의 무덤 동상으로 만들었다가 스스로 부숴버린 피에타(예수의 유해를 무릎에 안고 ... ...
우주특실 즈베즈다 도킹성공의 내막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구겨진 자존심을 회복하기 위해 이후 10년간 의회의 예산배정시 과학교육과 우주개발
분야
에 최우선 순위를 두었다.다음해 1월 미국은 익스플로러를 쏘아올렸고 10월에는 NASA를 공식출범시켰다. 하지만 옛소련도 이에 뒤질세라 1961년 유리 가가린을 우주공간으로 보내 최초의 우주비행사를 ... ...
별걸 다 찾아주는 검색엔진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종류의 국내 전문 DB를 직접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특히 세분화된 검색
분야
를 사용자가 선택해 검색하기 때문에 원하는 검색결과를 얻기 쉽다.인간 감성을 포착하는 지능형앞에서 설명한 검색엔진들이 단어형태의 키워드를 통해 검색한다면 이번에 얘기할 지능형 검색엔진은 ... ...
난치병 치료의 두가지 돌파구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영국 정부의 움직임을 비난하면서 인간배아복제 실험이 “실행하기에는 너무 위험한
분야
”라고 지적했다.그러나 사실 인간배아복제의 허용 여부를 둘러싼 의견은 종교계 내에서도 엇갈린다. 감리교신학대 박충구교수는 6월 1일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 주최로 서울대 호암생활관에서 열린 ... ...
이전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