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5) 소프트웨어 「한글화」의 허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반기를 든 것이다.한글화한 프로그램과 한글자막 처리(혹은 음성더빙)한 영화는 어떤
차이
가 있을까.물론 한글화한 소프트웨어에는 영화처럼 폭력이나 외설적인 장면이 없을 뿐만 아니라 개발목적 자체가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주기 위함인 것은 확실하다. 편리하다는 이유로 혹은 기능이 ... ...
뿔이 무기인 노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삼지창 같은 뿔은 아주 대조적인 모습을 이루고 있다.털은 여름과 겨울에 뚜렷한
차이
를 보인다. 여름털은 짧고 거칠고 성글다. 특히 등과 옆구리 등이 황갈색 또는 적갈색을 띠어 멀리서 보면 녹슨 쇳 빛을 발산한다. 하지만 겨울에는 성근 털 밑에 곱슬곱슬한 속털이 나며 겉은 회갈색이다. 다리 안 ... ...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것도 문제로 지적할 수 있다. 이 뿐 아니라 '고분자물질'이란 용어에서 처럼 분명한 의미
차이
가 있는 두 용어 'macromolecule'과 'polymer'를 모두 '고분자물질'로 번역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개념 정립에 큰 혼란을 가져온다. 또한 개념이 명확하지 않은 용어를 혼용하는 일도 있는데 '성장'과 '생장 ... ...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있다. 오히려 자연계에는 서로 귀찮아하는 공생관계가 더 많은 편이다.기생과 공생의
차이
이해득실은 다양하지만 자연계의 생물들은 진딧물의 예에서처럼 다른 생물과 종을 뛰어 넘어, 복잡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생활하고 있다. 이러한 온갖 형태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공생(symbiosis)이라 하는데 ... ...
(4) 한글언어개발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여기에 그 근거가 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언어인 한글과 프로그래밍언어와의
차이
를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질 것이다. "좋은 언어들이 많이 있는데, 구태여 한글언어를 만들 필요가 있을까." 영어중심이기는 하지만 좋은 언어들이 많은데 한글언어가 ... ...
"현재는 과거의 열쇠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 논쟁에서 언급된 "캄브리아기 화석들의 생김새가 놀랍게도 현존생물들의 모습과
차이
가 없다"는 신경생물학자의 이야기는 화석에 대한 무지를 나타낸 것이다. 생물개체들마다 수명이 있듯이 모든 생물종은 각각의 수명이 있다. 즉 첫 출현의 시기와 소멸의 시기가 있는 것이다. 이 현상은 분명히 ... ...
맨발로 지내는 것이 최상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편평족이 허리 아픈 이유해부구조로 보면 네발 동물과 사람은 손보다도 발에서 더 큰
차이
가 난다. 사람의 발은 26개의 뼈로 구성돼 있고 그외 관절이나 연한 조직들이 잘 연결돼서 엄청난 무게가 나가는 몸을 버틸만큼 튼튼한 받침대 기능을 한다. 또한 우리가 걷거나 뛸 때처럼 우리 몸을 앞으로 ... ...
2 머리카락 굵기로 전화 2억회선 구성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보다 가늘게 하여 입사각이 큰 광파는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광파의 도달시간
차이
는 광파의 파장성분이 여러 가지일 때도 일어난다. 파장이 달라지면 빛의 색깔이 달라지고 광섬유를 통과할 때의 굴절률 또한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들이 앞으로 광통신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 할 ... ...
정체 드러내는 「신의 아들」엘니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건조한 날씨를 맞게 된다.방금 언급한 지역외에도 세계의 많은 지역이 정도와 양상의
차이
는 있으나 엘니뇨에 의한 이상기후를 경험한다.그러나 중위도 지방의 날씨를 좌우하는 요소에는 엘니뇨 이외에도 여러가지 변수들이 있기 때문에 중위도에서의 날씨는 이러한 모든 요소의 복합적 현상으로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주장함과 아울러 기능분담에 있어서도 오른손잡이의 반구, 즉 뇌와 왼손잡이의 뇌는 큰
차이
를 보인다고 밝혔다. 즉 오른손잡이의 뇌는 좌뇌에 그 기능을 집중시키는데 반해 왼손잡이의 뇌는 좌·우뇌에 적절히 기능을 분담시킨다는 것이다.어찌 생각하면 왼손잡이의 뇌가 훨씬 균형적이고 ... ...
이전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