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통
총체
보편
전반
일반담보
담보
일반심리학
d라이브러리
"
일반
"(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밀레니엄 버그 ABC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000년이건 상관없이 00년에 이르게 되면 동작하게 된다.사실 세상이 Y2K 때문에 떠들썩해도
일반
인들이 손쓸 일은 거의 없다. 컴퓨터를 가진 사람들은 자신의 컴퓨터가 2000년을 제대로 처리하는지의 여부만 확인해주면 된다. 게다가 웬만한 펜티엄급(흔히 586이라고 말함) 컴퓨터들은 이런 문제를 ... ...
작가 송지나가 본 과학, 과학자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사회의 과학문화가 올바로 서 있지 못한 채 과학을 한 번도 이해하려고 해본 적 없는
일반
시청자들의 문제일지도 모른다. 문학, 역사, 철학 같은 인문학적 교양은 언제나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과학적 교양이라고 하면 설레발을 치는 우리 식의 왜곡된 교양관, 그것이 문제일 것이다.과학은 ... ...
캡슐 요구르트의 진실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강산의 바다인 위 속을 통과해 장까지 살아가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대개
일반
요구르트 내의 유산균이 장속까지 생존해 갈 수 있는 양은 처음 양의 50%에 불과하다. 물론 생존한 50%에 해당하는 유산균 양은 1백50mL의 요구르트 중에 7백50억 마리나 되므로 적은 것이 아니다. 하지만 마신 ... ...
열역학의 세계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있으면 엔트로피가 0이 된다는 것이 열역학 제3법칙이다. 하지만 이는 열역학에 대한
일반
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우주에서 일어나는 모든 자연적인 변화는 우주를 더욱 무질서하게 만들어서 엔트로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일어난다는 것이 바로 열역학 제2법칙이다.공이 ... ...
재미있는 수학의 패러독스들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세개의 경우처럼 하면 된다. 결과는 마찬가지로 선택을 계속 바꾸는 것이 더 유리하다.
일반
적으로 n개의 문의 몬티-홀 문제를 풀때, 각 단계의 선택을 바꿔서 금괴를 얻어낼 확률은 $\frac{n-1}{n(n-2)}$로$\frac{1}{n}$보다 크다고 한다.이상에서 살펴본 것들 외에도 많은 패러독스들이 있다. 아직 미해결인 ... ...
② 정보통신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모두 활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북한에서는 한글을 입력할 때 한글 자모를 사용하는
일반
방식은 물론, 발음에 따라 영자로 입력하는 발음식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영자타자에 익숙한 사람에게 편의를 주고 있다.평양프로그람쎈터에서 개발돼 컴덱스 아시아에서 전시됐던 제품들로는 창덕과 단군 ... ...
집안에서 고드름과 종유석 만들기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살펴볼 수 있다.과냉각이란 쉽게 말해 얼어야 할 때 얼지 않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일반
적으로 물은 0℃이하에서는 얼음으로 존재하는데 조건에 따라서는 액체상태로도 있을 수 있다. 이를 과냉각 물방울이라고 한다. 티오황산 나트륨은 이러한 과냉각이 물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일어난다. ... ...
복제소 영롱이와 유전자 조작 슈퍼벼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못한다. 들깻잎은 노화방지와 두뇌발달 촉진에 효과가 있는 오메가3 지방산을
일반
들깻잎보다 10% 이상 더 함유했다.기술은 세계 수준1999년 2월 한국 생명공학의 수준을 한단계 높인 두가지 사건이 벌어졌다. 세계 과학계에서 첨단 테마로 인식되는 복제동물과 유전자조작 농작물이 국내에서 ... ...
Y2K 어떻게 해결하나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버그에 대한 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것은
일반
인들에게 그 해결 방법을 알려주지 않기 때문이다. 알고보면 무서운 기세의 밀레니엄 버그도 타협선을 가지고 있다.밀레니엄 버그(Y2K)는 컴퓨터에서 연도를 2자리로 표시했던 관행 때문에 발생한다. 그렇다면 2자리 연도를 4자리로 바꾸면 모든 문제는 ... ...
① 우주 탄생에서 박테리아 등장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합성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그렇다면 DNA와 RNA 중 어느 것이 더 먼저 발생한 것일까.
일반
적으로 DNA의 유전 정보가 RNA에 전달되고, 그 결과 단백질이 합성된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DNA가 RNA보다 먼저 생긴 것이 아닐까.그렇지 않다. 현재 생명체에서 발견되는 RNA의 분자구조는 DNA보다 간단하다. ... ...
이전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