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참여·공유 내건 학술지, 온라인 오픈”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지난 3월 31일 창간한 온라인 과학저널 IBC는 값비싼 저널 구독료와 논문의 저작권 정책에 반대하며 누구나 저널을 무료로 볼 수 있도록 ‘오픈 액세스’(열린 접근)를 지향한다. IBC는 ‘Interdisciplinary Bio Central’의 약자로 생명과학과 융합 분야를 다루는 저널이라는 뜻이다.초대 편집장은 포스텍 시 ... ...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된 비둘기의 굴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제2호인 이 석탑은 10년째 커다란 유리벽에 둘러싸여 있다.햇빛이 반사돼 보기 불편하고
사진
도 잘 찍기 힘들다. 그래도 유리벽을 설치해 두는 이유는 산성비와 새 배설물로부터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해서다. 문화재를 훼손하는 대표적인 새가 바로 비둘기다.오랫동안 ‘평화의 상징’으로 사랑받아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꾸준히 참여해 왔다. 자기소개서에는 비영리단체인 환경장애연구협회가 주최한 환경
사진
공모전에 출전했을 때의 과정을 담았다.무단 쓰레기로 오염되고 있는 환경을 보면서 ‘나 하나쯤이야’라는 생각을 버리고 ‘나부터’라는 생각을 갖게 된 과정을 자세히 기술했다. K양은 주변에서 쉽게 ... ...
소마큐브를 업그레이드한 창의블록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소마큐브는 덴마크의 물리학자 피에트 하인이 개발한 3차원 퍼즐이다. ‘소마’란 올더스 헉슬리의 소설 ‘멋진 신세계’에 나오는 마약 이름인데, 소마큐브는 이름처럼 중독성이 강해 한번 빠져들면 좀처럼 손을 놓기 어렵다. 또 KBS ‘스펀지 2.0’의 ‘공부 잘하는 법’ 편에 소개됐을 정도로 학 ... ...
차세대 검색기술이 바꿀 웹 세상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자체의 정보를 뽑아내 검색에 이용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빨간 사과
사진
을 찾을 때 ‘빨간’과 ‘사과’란 단어(메타데이터)와 함께 이미지 파일에서 빨간색 정보를 골라내 이 3가지를 모두 만족하는 이미지를 검색 결과로 내놓는 방식이다.이런 방식은 평면적인 이미지뿐 아니라 ... ...
유전자에서 단백질까지 살피며 질병 원인 한눈에 파악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만약 어떤 산에 대해 알고 싶다면 입구부터 정상까지 차근차근 오르면서 어떤 나무가 있고, 어디쯤에 계곡물이 흐르는지를 봐야 한다. 그러나 같은 산이라도 정상에 오르는 최적의 등산로를 찾아야 한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지금까지 알고 있는 산에 대한 세부 정보를 종합해 산을 전체적으로 이해 ... ...
나노 세계 들여다보는 차세대 X선현미경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X선 영상장치보다 약 3000배 세밀한
사진
을 찍을 수 있을 뿐 아니라 1초에 200장의 연속
사진
을 촬영해 물체를 동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다”고 말했다.또한 X선현미경은 조영제를 넣지 않고도 혈관을 선명히 촬영할 수 있다. 2004년 연구단은 세계 최초로 쥐의 미세혈관을 조영제 없이 촬영하는 데 성공해 ... ...
A New Kind of Boycott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중심으로 일고 있는 새롭고 평화적인 시위문화를 살펴보도록 하자.※ 기사의 원문 및
사진
의 저작권은 타임워너사에 있으나 한국의 학생들에게 맞게 문장과 단어를 수정하고 재편집했다 ... ...
청자색 비늘로 치장한 피라미의 외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지난 5월 출간한 ‘쉬리야, 꼬치동자개를 보았니?’라는 민물고기
사진
집(환경부 발간) 제작을 주관했으며 ‘팔당호의 어류상’ 등 담수생태계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 ...
1000만 살 먹은 웃음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커런트 바이올로지’ 6월 4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침팬지와 고릴라, 오랑우탄(
사진
), 보노보 등 어린 영장류 22마리와 사람 아기 3명을 간질이면서 이들이 내는 웃음소리를 800여 차례 녹음했다. 이를 분석한 결과 각 소리를 구성하는 성분의 특징이 일부 비슷하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 ...
이전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