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18세기 최첨단 요새 수원 화성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같을까’라는 의문을 갖고 유네스코 심사위원이 한국을 방문했는데, 화성성역의궤를
보고
곧바로 수원 화성을 등록시켰다는 일화도 있다. 화성성역의궤도 그로부터 10년 뒤인 2007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화성성역의궤에는 드라마 이산에 등장하는 도화서의 그림도 수록됐다.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다르지만 모두 ‘맵다’고 느끼는 이유다.최근에는 Nav1.8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냉센서가
보고
되기도 했다. 진통제 개발에 영감 줘“캅사이신은 동전의 양면과 같습니다. 처음엔 통증을 일으키지만 나중에는 진통 작용을 보입니다.”통증을 연구하고 있는 서울대 약대 오우택 교수의 설명이다.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두개저열구(頭蓋底裂口)에 침입함으로써 뇌신경이 편측성으로 핵하성마비를 초래한다고
보고
했다 다극관의 제어그리드와 양극 사이에 두는 비교적 눈이 작은 그리드 상호 전도도를 거의 변화시키지 않고 두 극 사이의 용량을 감소시켜 증폭률을 크게 한다이 그리드를 가진 4극관을 가리기 ... ...
PART 1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 D-99 체크리스트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느낌을 받습니다. 이를 모두 배우기에 1년이라는 시간은 짧지만 훈련하는 과정에서
보고
들은 내용을 모두 기록으로 남기며, 그 내용을 이해하고 머릿속에 확실히 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오는 4월 우리 우주인이 소유즈에 몸을 싣고 하늘로 올라가는 순간을 기대해 주세요. 이 일은 ... ...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분야다. 유럽연합(EU)은 2005년 과학기술분야 유망신규과제(NEST) 프로그램에서 발간한 연구
보고
서를 통해 합성생물학을 엄청난 영역과 잠재력을 지닌 분야로 꼽으며 관련분야에 체계적인 지원을 검토했다.과학자들은 합성생물학으로 의약품의 원료를 생산하거나 환경오염을 막는 미생물을 개발할 수 ... ...
특집03 뚝딱뚝딱 '프랑켄슈타인 세포' 만들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녹색빛을 내는 단백질 유전자를 넣어 발현시키는데 성공했다.이 실험 결과는 지금까지
보고
된 인공세포막을 이용한 여러 연구들에 비해 상당히 진보한 내용이다. 하지만 아직도 실제 세포 안에서 일어나는 일을 완벽하게 모방했다고 보기는 어렵다.유전물질이 자기복제를 하거나 리포솜이 분열을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공헌했다.이밖에도 비만 쥐, 난쟁이 쥐, 털이 전혀 없는 누드 쥐, 목이 마비돼 평생 별을
보고
살아야 하는 스타게이저(stargazer) 쥐, 항상 몸을 떠는 쥐가 모두 인간이 필요에 의해 유전자를 변형시켜 만든 쥐다. 최근 쥐는 과학자들의 절친한 친구로 탈바꿈했다. 독성 성분을 시험할 때나 신약 성분을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초식 또는 잡식성 공룡두 발로 걷는 육식성 공룡기존의 2차원 평면영상과 달리 사람이
보고
느끼는 실제 상황과 유사한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HDTV의 차세대 주자로 꼽힌다 특수 안경을 쓰지 않고 맨눈으로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핵심이다 360˚ 모든 방향에서 영상을 볼 수 ... ...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조류학자인 나가미치 구로다 박사가 조선 땅의 원앙사촌을 먼저 발견해 국제학회에
보고
한 탓에 영어로는 ‘구로다 쉘덕’(Kuroda shelduck)이라고 부른다. 표본을 단서로 원앙사촌의 ‘외모’를 추론해보면 부리 길이 4.15cm, 부리에서 꼬리까지의 몸길이는 64cm이며 다른 오리보다 다리가 약간 길다. ... ...
그믐달에서 보름달까지 변하는 '내 방 안의 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달을 향한 염원은 태양을 향한 염원보다 오히려 크다. 달을 보며 소원을 빌어도 태양을
보고
소원을 빌진 않으니까. 이제 ‘달에 가고 싶은 꿈’을 넘어 ‘달을 갖고 싶은 꿈’까지 이뤄지게 됐다. 비록 지름 25cm의 작은 달이지만 말이다. 미국의 ‘엉클 밀튼’(Uncle Milton)이라는 천체교구사에서 만든 ... ...
이전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