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AIDS 치료제 일본에서 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야마구치의대)와 요네하라박사(도쿄 임상의학 종합연구소).이들은 오랜 연구
끝
에 AIDS에 감염된 세포에서만 발견되는 특이한 항원단백질을 찾아냈다. 그리고 분자량이 약 20만 정도인 이 항원의 이름을 Fas항원이라고 붙였다.항원의 발견은 그에 대응하는 항체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세포공학적 ... ...
가장 약한 파 중력파를 찾아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움직일 수 없기 때문이다.아인슈타인은 이 모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0년동안 고심한
끝
에 상대론적인 중력이론을 만드는데 성공했는데 이를 일반상대성 이론이라 부르고 있다.이 이론은 물체의 운동과 시간 공간 그리고 중력현상을 모두 통합하는 위대한 걸작품이다. 다만 한가지 아쉬운 점이 ... ...
대학이냐? 학과냐? "비인기학과에 도전하세요"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적는 일도 현명하지 못해요. 대개 학생들은 가장 통속적인 권유에 약하기 마련이죠.김용-
끝
으로 수험생들에게 꼭 들려주고 싶은 말씀이 있으면 하시지요. 고등학교 2학년이 되면 문과ㆍ이과로 나뉘는데, 이 선택에서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어쩌면 인생의 첫 단추가 될 수 있기 때문이지요. ... ...
자연상태의 DNA촬영에 성공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촬영과정에서 어려운점이 많아 3년동안이나 고생했는데 특히 백금바늘을 원자크기의
끝
만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을 왁스로 전기 절연시키는 것이 어려웠다고 한다.촬영에 성공한 뒤 '린제이'박사는 "DNA가 일정한 나선구조가 아니고 매우 변화가 심하다는 것을 확인했을 때 대단히 흥분하게 되었다 ... ...
안경과 콘텍트렌즈의 선택ㆍ취급요령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안되면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실제로 사후검사를 게을리해서 실명한 사람도 더러 있다.
끝
으로 콘택트렌즈를 사용함에 있어서 주의하지 않으면 안될 점, 지키지 않으면 안될점들을 기술한다.먼저 하드 콘택트렌즈의 바른 취급법을 소개한다. 첫째 렌즈사용을 마감하기 전에 전용 세제로 가볍게 ... ...
태양계의 신비 얼마나 벗겼나 12년의 대장정 보이저 드라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도는 위성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인데 비해, 2호는 찬란한 빛을 발하면서 지구인에게
끝
없는 우주 도전의 꿈을 심어준 토성고리의 구성성분을 밝히는 것. 현재까지 밝혀진 토성의 위성은 21개이지만(보이저 3개발견) 아직 발견하지 못한 위성이 더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수성 크기만한 위성인 ... ...
밤에도 본다 야간 감시장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원리를 알아보자. 이미지관의 원통 한
끝
에는 반투명한 광음극이 있고 다른 쪽
끝
에는 형광막이 있다. 또 이들 사이에 전자(電磁)렌즈가 있어 광음극에서 나온 광전자가 형광막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충돌, 광음극의 상과 같은 모양의 상이 형광막에 나타나도록 되어 있다.광음극에서 나온 전자는 ... ...
교사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우주에는 중심이 없으며, 수많은 별이 모두 태양과 같다는 복수세계관을 주장하면서
끝
까지 자기의 생각을 굽히지 않아 결국 화형을 당한 브루노(Giordano Bruno, 1548-1600)의 죽음은 또한 우리에게 무엇을 가리키고 있는가 ... ...
한글문화에 알맞는 컴퓨터를 개발하자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문제를 모면하려 했다는 데 큰 이유가 있다고 본다.우리는 이러한 예를 1987년 많은 논란
끝
에 결정된 완성형 한글코드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표준으로 결정된지 2년이 채 안되는 이 시점에서 필요로 하는 글자를 만들 수 없다는 불평이 나오고 심지어 반문화적 발상이라는 혹평이 나오는 등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지금부터 약 61만년 전부터 최근 역사시기까지 6번에 걸친 화산분출은 백두산을 하늘
끝
까지 우뚝 솟아 올려놓았다. 더욱 백두산을 아름답게 만든 것은, 제4기 지질시대 동안의 5번 빙하작용 때문이다. 이는 대장장이가 명검(名劍)을 만들 때 하던 담금질에 비유된다. 특히 북한령의 천지 안쪽 ... ...
이전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