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딱딱한 지각판이 ‘말랑’해지는 순간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있다는 색다른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카네기과학연구소의 라라 와그너 연구원팀은
전
세계 22개 지진파관측소에서 관측한 지진파를 분석해, 나스카 판이 대륙판 아래로 침강하는 도중 일부 변형이 일어났다고 밝혔다.나스카 판은 태평양 지역의 중앙 해령에서 생성된 해양판으로 대륙판인 ... ...
[News & Issue]내가 쓴 화장품이…해안을 더럽힌다고?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작성해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다. 홍선욱 오션 대표는 “오염이 더 심각해지기
전
에 우리가 달라져야 한다”며 “마이크로비드 대신 호두 껍데기, 포도씨 껍질 등 천연원료를 이용한 각질제거제를 사용하는 등 작은 실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 편집자 주_진화심리학자
전
중환 경희대 교수의 ‘협력의 공식’을 새롭게 연재합니다. 인류는 물론 생명이 갖고 있는 이기성과 이타 ...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텍사스대 심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진화심리학
전
문가이며 현재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로 재직 중이다 ... ...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퇴화된다고 몸무게가 정말 많이 줄어들까. 익룡의 이빨이 아무리 크고 단단하다 해도 몸
전
체의 무게와 비교하면 그리 무겁지 않다. 게다가 이빨의 퇴화가 비행에 이롭다면 다른 익룡도 이빨이 없어지는 방향으로 진화했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보고된 대부분의 익룡은 이빨을 가지고 있다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물리학이 꿈틀거리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향한 도
전
표준모형Part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Part 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Part 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Part 4.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Part 5. 스티븐 와인버그 교수 인터뷰 “‘최종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일회용 포장재 생산기업이 제시한 재활용 방안은 기업의 생산책임을 개인의 책임으로
전
가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단순히 기업이 일회용 포장재를 생산하지 않으면 될 문제라는 것이다. 동물과 환경을 파괴하는 방식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패딩 제조 업체의 문제도 이와 비슷하지 않을까. ... ...
[Tech & Fun]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➊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2호선 공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2018년 개통 예정인데 벌써부터 공사 현장으로부터
전
자기파가 감지돼 실험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 ...
리만가설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가설이 해결되면 획기적인 소인수분해법도 개발되리라고 보고 있다. 한편에서는 이것이
전
혀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말한다. 기하서 연세대 교수는 “리만 가설과 소인수분해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며, “사람이 만들어 낸 상상”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기가 막힌 아이디어가 나와서 RSA ... ...
[News & Issue] 아이 계획 있다면 남편 다이어트부터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수 있다는 뜻이다. 또한 연구팀은 비만 환자 6명을 대상으로 체중감소 수술을 받기
전
과 후 정자세포의 변화를 관찰했다. 수술 1년 후 DNA 구조에 평균 5000개의 변화가 일어났다. 바레스 교수는 “후천적인 DNA 변화가 실제로 자녀에게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추가로 연구가 필요하다”고 ... ...
[News & Issue]화성, 고리 없다(X) 생길 거다(O)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지구에선 관측하기 힘들 것”이라며 “고리의 그림자 정도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
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지구과학’ 11월23일자에 게재됐다 ... ...
이전
516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