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38건 검색되었습니다.
환자의 눈으로, 경쟁 줄이고 성취 높인다…‘의사과학자’ 과정 도입한 울산대의 실험
동아사이언스
l
2022.07.13
오연천 총장(오른쪽)과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이용훈 총장이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학술
교류 협정을 맺고 기념 촬영하고 있다. 울산대 제공 울산대 의대가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손잡고 의대 교육과정에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을 새로 개설한데 이어 의대 교육과정도 전면 개편한다. 12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소음의 두 얼굴
2022.07.12
효과를 볼 수 있다는 말이다. 흥미롭게도 1960년 이미 이런 관찰을 담은 논문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실린 적이 있다. 당시 연구자들은 치과 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헤드폰을 낀 채 원할 때 음량을 조절하며 음악 또는 백색소음을 들을 수 있게 했다. 그 결과 65%가 치료 중 통증을 덜 ... ...
[표지로 읽는 과학] 곰팡이 네트워크의 베일을 벗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0
제공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버섯의 모습을 8일 표지로 실었다. 버섯 사진 중간에는 ‘비밀의 협력자’, ‘세계 생태계를 유지하는 곰팡이를 찾아서’라는 문구가 쓰여있다. 버섯과 곰팡이는 균계 생물들이다.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 낼 수 없어 영양 성분이 있는 유기물에 붙어 산다. 이 과정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힉스 입자 발견 10년, 그동안의 성과와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22.07.09
제공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7일(현지시간) 입자들이 불안정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왼쪽에는 ‘힉스 10'이라는 문구가 있다. 이번주 네이처는 2012년 힉스 보존 발견 10년을 기념해 그동안 힉스 입자에 대해 이뤄진 주요 연구와 최신 연구 동향을 살펴봤다. 2012년 7월 ... ...
WHO 원숭이두창 비상회의 재소집…국내선 "코로나19와 달리 통제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22.07.09
라이브사이언스에 따르면 포르투갈 리스본 국립의료원 연구팀은 지난달 24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메디신에 “최근의 원숭이두창 바이러스는 2018~2019년 발견된 바이러스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변이 50개가 더 발견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일반적으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는 매년 변이가 1~2개 ... ...
필즈상 품고 입국 허준이 교수 “수학은 가끔 적당히 포기할 줄도 알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7.08
기념 강연을 하고 부모님과의 가족 여행을 떠날 계획이다. 이후 고등과학원 연구원들과
학술
적 상호작용을 진행하며 여름을 보낼 것이라고 했다. 허 교수는 “제가 살면서 필요한 것들, 배워야 하는 것들이 있을 때 딱 그것을 가르쳐줄 수 있는 사람들을 딱 필요한 때에 순서대로 만났던 것 ... ...
티렉스보다 2000만년 전 출현 ‘도플갱어’ 공룡 확인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8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지역 사막에서 2012년 발굴한 공룡 화석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7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이 공룡은 티렉스 출현 2000만년 전에 멸종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티렉스처럼 머리가 엄청 크고 작은 앞다리와 큰 두 발을 지녀 ... ...
데이터가 말했다 "백신 의무접종 효과가 있었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22.07.07
접종 인증제를 도입한 나라의 접종률이 빠른 속도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6일(현지시간)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백신 접종 인증제가 접종률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인접한 두 나라인 리투아니아와 폴란드의 접종률 추이를 분석했다. ... ...
[생중계]허준이 교수 업적 설명 및 현지 인터뷰 중계(오후 7시부터)
동아사이언스
l
2022.07.05
탁월한 업적을 세운 만 40세 이하 젊은 수학자를 대상으로 수여하는 수학계 최고 권위의
학술
상이다. 4년마다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 개막식에서 발표와 수여가 이뤄진다. 노벨상에 수학 분야가 없어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린다. 1936년 필즈상 수상을 처음 시작한 이후 올해 수상자 4명을 포함해 총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전문가 4인 진단 "사립대는 수학 연구 위기...연구 생태계 재편 계기로"
2022.07.05
탁월한 업적을 세운 만 40세 이하 젊은 수학자를 대상으로 수여하는 수학계 최고 권위의
학술
상이다. 젊은 시절에 좋은 업적을 내야 상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이창옥 KAIST 수리과학과 교수(한국산업응용수학회 회장)은 "한국의 박사과정 시스템은 이른 나이에 박사 학위를 하고 좋은 업적을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