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13건 검색되었습니다.
최고과학기술인상에 전기차 주행거리 늘린 이차전지 개발 선양국 한양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6.28
다수 기업에 총 25건의 기술이전을 진행했다. 선 교수는 다수의 이차전지 국제
학술
회의에 초청연사와 집행위원으로 참석하는 등 한국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대외활동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세계 석학들과 국내 기업 개발자들이 양극소재에 대해 협력하고 토론하는 이차전지 양극소재분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격한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들
2022.06.28
락페의 분자구조다. 네이처 제공 ○ 극단적 상황에서 생존율 높이는 전략인 듯 2020년
학술
지 ‘셀’에 한 차례 고강도 운동(러닝머신에서 10분 내외 전력 질주) 전후 혈액을 채취해 질량분석법으로 대사체 프로파일을 분석한 연구 결과가 있다. 당시 젖산과 함께 전하 당 질량(m/z)이 236인 미지의 ... ...
소행성 탐사 성과 쏟아지는 일본…국내선 첫 시도조차 무산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2.06.27
JAXA)는 소행성 류구 시료에 대한 종합적 분석 결과를 이달 10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도쿄공업대학 연구진이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이 분석한 결과 류구 시료가 1938년 탄자니아 이부나에 떨어진 ‘CI 콘드라이트’ 운석과 화학적으로 유사한 사실을 확인했다. 학계에서는 ... ...
[표지로 읽는 과학]기후의 미래를 위해 지금은 행동할 시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6
지난해 새 기록을 썼다. 인류는 과연 브레이크 없이 종말로 치닫을 것인가. 이번 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표지는 녹음이 짙은 숲 길을 나서 건조하고 황량한 뜨거운 황무지로 향해 달리는 차량의 모습을 담았다. 인류가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지금도 충분히 기후대재앙을 돌릴 수 있다는 ... ...
서울대, 윤성로 교수 연구팀 '표절 논문' 조사 방침
동아사이언스
l
2022.06.26
윤 교수 등 공저자들은 지적을 받고 표절 사실을 확인한 뒤 소셜계정과 이메일 등을 통해
학술
대회 주최측에 논문을 철회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며 소속 기관인 서울대에 징계위원회 회부 절차 개시를 요청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불평등에 맞서는 데이터 분석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2.06.25
34.85%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의 남성과 동등하게 연구와 특허 개발에 참여했지만
학술
적 기여도를 덜 인정받은 것이다. 네이처는 코로나19가 불평등을 심화시켰다고 평가했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올해 최대 6억 770만명이 극심한 빈곤을 겪고 있다. 세계은행 소속 연구팀은 국내총생산의 ... ...
“원숭이두창 2018년부터 조용히 퍼지기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4
드러나지 않았지만 지역사회 확산이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난달 5월 28일 국제
학술
지 ‘국제감염병저널’에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가 이미 사람 간 감염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는 영국 런던대 연구진의 연구결과가 실리기도 했다. ● 2018년 조용한 유행 시작됐다? 원숭이두창 ... ...
여성은 남성보다 과학 논문 저자로 인정 덜 받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4
.85%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의 남성과 동등하게 연구와 특허 개발에 참여했지만
학술
적 기여도를 덜 인정받은 것이다. 남성이 연구 기간 전체에서 논문 저자나 발명가로 이름을 올릴 확률은 21%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은 12%에 머무는 것으로 분석됐다. 같은 직책에 있더라도 여성이 ... ...
'맨눈에도 보인다' 거대 박테리아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6.24
서인도제도의 과들루프 섬에서 1cm 길이의 거대 박테리아를 발견한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23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티오마르가리타 마그니피카(Thiomargarita magnifica)’라는 학명이 붙은 이 거대 박테리아는 기존 박테리아보다 DNA가 훨씬 많은 복잡한 생명체인 것으로 분석됐다. ... ...
서울 강남 도심 한복판에 과학기술 지식교류의 장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3
1층과 지하 1층은 1관과 2관이 연결된 통합공간으로 1층은 전시와 이벤트 존, 지하 1층은
학술
과 정보 등 교류를 위한 회의실로 활용한다. 29일 개관식 때 대한민국과학기술 연차대회도 함께 개최된다. 올해 연차대회는 ‘과학기술이 대한민국을 바꿉니다’를 주제로 장기간 지속된 팬데믹으로 뒤엉킨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