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야기
야그
야기
스토리
스페셜
"
얘기
"(으)로 총 73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하지만 얼굴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부분이 유전성도 크다는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허황된
얘기
는 아닌 것 같다. 혈연관계가 없음에도 얼굴이 꽤 닮은 경우는 아마도 얼굴의 핵심영역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 가운데 같은 형이 많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장기이식을 할 때 생판 남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인정하는 여유를 갖자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최근 TV 뉴스에 나온
얘기
가 꽤 흥미로웠다. 페이스북에 ‘오싫모’라는 페이지가 개설됐는데 일주일도 안 돼 10만 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모였다는 것이다. 오싫모는 ‘오이를 싫어하는 사람들의 모임’의 약자다. 필자도 같이 밥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나야 하고 설사 나더라도 초기에 진압해야 해야 한다고 생각해왔던 필자로서는 당황스런
얘기
다. 인디언들이 일부러 불을 낸 건(물론 실화(失火)인 경우도 있다) 주로 사냥하기 좋게 전망을 트이게 하기 위해서다. 이들은 날이 덥고 건조해지기 전에 불을 내 불을 잘 통제했고 그 결과 화재 규모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덜 쓰게 돼 비만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몸이 찬 사람은 살찔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
다. 우리딘은 앞에 소개한 리포칼린2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나 잘 알려진 분자다. RNA의 네 염기 가운데 하나인 우라실(uracil)에 오탄당인 리보오스가 붙은 게 바로 우리딘이다(이런 구조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발뒤꿈치에 화살을 맞아 전사한다. 오늘날 누군가(또는 무언가)의 치명적인 약점을
얘기
할 때 ‘아킬레스건’이라는 은유가 진부할 정도로 널리 쓰이고 있다. 물론 번역어일 텐데 정작 영어를 보면 ‘Achilles tendon’이 아니라 ‘Achilles’ heel’이 이런 뜻으로 쓰인다. 아마도 번역을 할 때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전망이 많다. 과학기술적인 측면에서 뉴로모르픽을 둘러싼 연구 경쟁이 촉발할 것이라는
얘기
다. 인간의 뇌를 하나의 칩에 담는 개념인 뉴로모르픽 구조의 컴퓨터를 구현할 수 있다면 적은 전력으로도 뛰어난 인공지능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연구는 국내에서 기초과학연구원(IBS)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가 치매도 일으킨다?
2017.02.01
있다. 대기가 안 좋기로 유명한 중국의 경우 매년 100만 명이 호흡기 질환으로 사망한다는
얘기
도 들린다. 지난 2012년 의학저널 ‘란셋’에 실린 지구 질병 심층 분석 논문을 보면 2010년 지구에서 사망한 5280만 명 가운데 310만 명이 대기오염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닌 것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
2017.01.23
내용을 담은 논문이 실렸다. ‘말이 많으면 쓸 말이 적다’는 우리 속담이 사실이라는
얘기
다. 미국 브라운대 유리엘 코헨 프리바 교수는 섀넌의 정보이론에 기반해 대화과정에서 소화할 수 있는 정보의 양(섀넌의 용어를 빌면 채널용량)이 일정하다면 말이 빠른 사람은 정보밀도가 떨어져야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성공, IQ보다 성격에 달렸다?!
2017.01.10
높은 사람들이 결국 가장 실적이 좋다는 연구도 있었다(Barrick et al., 1993). 어쩌면 당연한
얘기
겠지만 성적에는 IQ뿐 아니라 버틸 줄 아는 끈기, 자기통제력, 치밀함 등이 필요하며, 어쩌면 이게 더 중요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한 성격적으로 성실성이 높은 사람이 시험을 더 ‘진지하게’ 본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
2017.01.10
CNT의 잠재력을 좀 더 살린 것으로 보인다. 아쉽게도 그 이상의 언급이 없어 더 이상
얘기
를 진행할 수가 없다. 아쉬운 마음에 로텍에서 하이텍으로 옮겨가고 있는 CNT배터리의 연구결과 하나를 소개한다. 지난해 싱가포르의 연구자들은 탄소나노튜브와 몰리브덴황화물튜브 이중 나노구조로 된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