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경우
타임
시각
더러움
얼룩
오물
스페셜
"
때
"(으)로 총 6,106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누리호는 '이들' 꿈도 함께 싣고 날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개발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고 밝혔다. 지상고정장치 기술은 나로호 발사
때
는 없었던 기술이다. ● 총사업비 80% 집행한 300개 기업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누리호 개발 참여 주요 산업체 현황.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누리호 개발 사업에 국내 기업 약 300개가 참여했다. 누리호 전체 사업비의 80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누리호 제원과 개발 과정의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지상 연소시험을 시작했으나 짧은 섬광만 내고 실패했다. 막대한 양의 추진제가 연소할
때
연소 상태가 불안정해지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연소불안정은 해결 방법이 명확치 않아 중대형 액체엔진 개발자들에게는 가장 큰 기술적 난제로 꼽힌다. 개발진은 설계를 12번 바꾼 끝에 10개월 만에 연소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 인공위성을 독자적으로 쏘아올릴 수 있는 시대는 무엇을 의미하나...발사 성공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여개의 민간기업이 기술과 노하우를 이전받아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기반이 갖춰졌기
때
문이다.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중인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은 개발 단계부터 국내 우주기업들의 참여와 육성이 목표다. 안재명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우주발사체는 지표면과 우주를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우리 손으로 만든 로켓으로 우리 위성을 우주에 올려놓은 순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달리 실제 위성이 실렸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1.5t 짜리 위성 모사체만 실린 1차 발사
때
와 달리 성능검증 위성이 탑재됐다. 수 kg의 큐브위성 4기를 우주 궤도에 올려 놓으며 엔진 단 분리 기술과 위성보호 덮개(페어링) 분리 등 어려운 기술을 다시 한번 성공하면서도 누리호의 우주궤도 투입 성능을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윤 대통령 누리호 성공에 "항우청 설치해 체계적 지원" 논란 '불씨' 여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현재와 같은 여야 대치와 여소야대 갈등 구도를 고려했을
때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조직법 개정이 사회적으로 논란이 됐던 윤석열 정부의 여성가족부 폐지 또는 개편 등 이슈와 맞물린다는 점도 문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길은 열렸다. 할 수 있는 일은 무궁무진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미래가 보이지 않았다”며 “특히 2016년 5월 1단에 쓰이는 75t 엔진 연소시험을 할
때
원하는 성능을 내 것인지 두려움에 떨기도 했다”고 말했다. 고 본부장은 “20일 누리호가 조립동에서 발사대로 이동하는 순간에서 발사까지 항우연 모든 사람들이 조마조마하며 그 모습을 지켜봤다”며 “좋은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이스라엘·이란·북한보다 늦었지만…7번째로 1t급 실용위성 발사 능력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유럽, 영국, 중국, 일본, 인도, 이스라엘, 이란, 북한 등 11개국이다. 이른바 이들은 한
때
국내에서 ‘스페이스 클럽’으로 불렸지만 해외에서는 별로 활용되지는 않는 용어다. 러시아는 1957년 옛 소련 시절 세계 최초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대륙간탄도탄(ICBM)을 개조한 R-7 발사체에 실어 ... ...
한국 독자 우주발사체 능력 확보했다...누리호 두번째 시도끝에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달리 실제 위성이 실렸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1.5t 짜리 위성 모사체만 실린 1차 발사
때
와 달리 성능검증 위성이 탑재됐다. 수 kg의 큐브위성 4기를 우주 궤도에 올려 놓으며 엔진 단 분리 기술과 위성보호 덮개(페어링) 분리 등 어려운 기술을 다시 한번 성공하면서도 누리호의 우주궤도 투입 성능을 ... ...
[영상+]누리호 예상보다 17초 빠른 950초 만에 위성모사체 분리…발사 긴박했던 순간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확인됐다. 2단 로켓이 점화된 누리호는 고도를 높여 가다 발사 235초 후 고도 191km를 지날
때
위성을 보호하는 덮개인 페어링을 분리했다. 발사 245초 후에는 고도 200km를 통과했다. 발사 274초 후 고도 258km에서는 2단 로켓이 연소를 마치고 분리됐다. 이륙 880초 후 고도 700km에서 성능검증 위성 분리가 ... ...
"누리호 발사 성공 기준은 초속 7.5km 700km 상공에 위성 올려놓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지상국 교신의 차이점은? A 발사 42분 후에 11분간 남극 세종기지와 처음 접속하는데 이
때
기본적으로 위성의 위성항법시스템(GPS) 정보를 받는다. 위성이 예정된 경로로 제대로 지나가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위성의 고유 번호인 비콘 수신은 4~5시간 지난 후에 남극 세종기지에서 교신하면서 알 수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