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스페셜
"
년
"(으)로 총 911건 검색되었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KOITA
l
2013.11.04
의견을 묻는 다수의 사람들이 있다. 기본적인 의사소통 구조는 변화가 없는 셈이다. 2000
년
대 중반까지도 인터넷 서비스는 점점 더 복잡한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마치 가전제품의 리모콘처럼 ‘기술이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라는 말을 실천하기라도 할 양, 온갖 복잡한 기술을 동원하여 여러 ... ...
[웹툰] 못잊을 친구 데릭
KOITA
l
2013.10.23
갓 시작한 2005
년
. 학위를 시작한 곳은 chemical compounds를 이용한 항암/항염증질환 치료를 연구하는 실험실이었습니다. 지도교수 전공도 화학이었고 실험실도 화학과 소속이었기에 실험실 학생 대부분이 화학 background를 가진 학생들이었고, 한두명 정도가 저와 같은 생물학 전공자였습니다. 하루는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KOITA)는 기술경쟁력이 국가경제발전의 원동력이라는 신념으로 1979
년
부터 기업연구소 설립과 운영을 지원하고, 산업기술 지원정책 개발과 선진 기술경영 보급․확산을 통해 기술혁신 풍토 조성에 앞장서 온 기관이다 ... ...
복잡한 세상, 수학적 원리를 따르는가?
KOITA
l
2013.10.18
들어 저 유명한 ‘기저귀 판매고가 늘어나면 맥주 판매고도 늘어난다’는 명제다. 1990
년
대, 미국에서 월마트 영수증을 분석하여 기저귀와 맥주 매상 사이에 통계적 관계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체 연관성이 없을 것 같은 정도가 아니가 상당히 불건전한 조합처럼 보이는 맥주와 기저귀가 관계를 ... ...
과학꿈나무들이 펼치는 우주과학축제
동아사이언스
l
2013.10.11
문의 : 우주정책과 고서곤 과장(02-2110-2430), 조민아 사무관(02-2110-2437) 한국우주소
년
단 조현정 팀장(02-739-6369) ※ 위의 내용은 미래창조과학부의 보도자료입니다 ... ...
“자동으로 시각을 알리는 정밀한 물시계를 제작하여라!”
동아사이언스
l
2013.10.10
제작하여라! 물시계에 대한 공식적인 기록은 삼국사기에 남아 있다. 718
년
신라 성덕왕 17
년
에 물시계를 만들고 이것을 관리하는 관청을 두었다고 한다. 하지만 일본이 만든 최초의 물시계가 671
년
백제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다는 기록으로 볼 때 삼국사기에 기록된 718
년
훨씬 이전부터 물시계가 ... ...
"어려움이 있더라도 늘 무언가는 배울 수 있는 직업이 과학자죠"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10
지원을 받아야 합니다. 그런데 지원을 받기가 쉽지 않아요. 제가 연구를 시작하던 2001
년
만 하더라도 RNA 관련 연구가 초보적인 수준이었기 때문에 미래가 불투명했죠. 연구하면서도 저의 연구과제가 과연 성공할 것인지 걱정이 많았습니다. 성공하기도 어렵고 전망도 비관적인 연구가 지원받기란 ... ...
Apple 신화의 시작점. 혁신기기 아이맥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08
001
년
아이팟을 출시하며 컴퓨터 업체로서는 의례적으로 음악 시장에 뛰어들었고 이후 2007
년
엔 아이폰을 출시해 스마트폰 시장의 강자로 우뚝 섰다. 명실상부 아이맥은 기사회생한 애플의 일등 공신이다. 잡스는 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소비자들에게 그들이 원하는 것을 물은 다음에 ... ...
「원자력 교육백서」 첫 발간
동아사이언스
l
2013.10.01
기관에서 자료 협조를 받아 공동으로 집필 작업을 진행하였다. 우리나라 원자력사 50여
년
만에 첫 발행되는 원자력 교육백서는 총 1,000부를 발행하여 원자력 유관기관에 배포될 예정이다. 백서는 기관별로 전문화된 고유 컨텐츠 개발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기관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비롯해 ... ...
“나노 기술은 나무 ‘밑동’…투기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13.09.25
송 센터장은 “나노 기술의 표준화를 효율성·안전·유해성 등 여러 영역으로 나누어 2005
년
부터 나노 과학자와 공학자들이 논의하고 있다”면서도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나노 연구의 시작점인 ‘측정’을 위한 장비나 기술이 미비하다”고 덧붙인다. ● 다양한 연구자들 IT 중심으로 모여야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