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뉴스
"
천체
"(으)로 총 1,33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첫 소행성 탐사 타깃 ‘아포피스’ 지구 근방서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JPL)에 따르면 아포피스는 100년 내 지구 충돌 확률이 100만분의 1보다 높은 지구위협
천체
4개 중 하나다. 여기에는 소행성 ‘베누’도 포함된다. NASA의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OSIRIS-REx)’는 2016년 발사돼 2020년 10월 베누에 착륙, 토양 샘플을 채취하는 데 성공했다. ... ...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피해 수습에만 570억원…재건 여부 불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주로 외계에서 오는 신호를 포착하는 연구에 활용됐다. 미국의
천체
물리학자인 조지프 테일러와 러셀 헐스는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으로 강한 자기장을 갖고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중성자별인 쌍성 펄서를 발견했고 이에 관한 연구로 1993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
약 130억 광년 밖 초기 우주서 제트 내뿜는 퀘이사 관측
연합뉴스
l
2021.03.09
가장 멀리서 관측된 "전파가 밝은"(radio-loud) 퀘이사에 관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
천체
물리학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에 발표했다. 퀘이사(Quasar)는 초대질량 블랙홀이 주변 물질을 빨아들이며 밝은 빛을 내는 '활동은하핵'(AGN)을 가진 은하를 가리킨다. 연구팀이 관측한 'P172+18'은 퀘이사 ... ...
혜성 '카탈리나' 먼지 꼬리서도 '생명체 원소' 탄소 확인
연합뉴스
l
2021.03.08
밝혔다. 우드워드 교수는 "모든 암석형 행성은 탄소 등을 가진 혜성이나 다른 작은
천체
가 부딪힐 수 있는 대상"이라면서 "행성 형성 초기에 일어난 충돌이 어떻게 생명체 출현을 촉진하게 됐는지를 이해하는데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다"고 했다. 연구팀은 오르트구름의 다른 혜성들도 ... ...
우주 보는 가장 큰 눈 ‘거대마젤란망원경’ 6번째 반사경 제작 착수…2029년 관측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GMT 가동 예상 시점은 2029년이다. 가동이 시작되면 ‘허블 우주 망원경’보다 10배 선명한
천체
영상 관측이 가능하다. GMTO는 “GMT는 인류 역사상 가장 먼 우주를 관측할 수 있는 거대 망원경으로, 빅뱅 직후 우주 급팽창에 의한 우주 생성의 수수께끼를 푸는 실마리가 될 것”이라며 “지상 ... ...
타임머신으로 시간 거스르듯, 원자 ‘초흡수’ 현상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1.03.07
또 같은 시간 동안 일반적인 흡수보다 더 많은 빛을 흡수할 수 있어 신호가 매우 약한
천체
관측, 광신호 처리 등에도 활용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 3월 2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용암의 강' 흐르는 슈퍼지구로 암석형 행성 대기 분석 길 연다
연합뉴스
l
2021.03.05
글리제 486 b는
천체
면 통과가 관측된 외계행성 중에서는 세 번째로 가깝고, 적색왜성의
천체
면 통과 행성으로는 가장 가깝다. 적색왜성은 항성의 70%를 차지하는 우주에서 가장 흔한 별로, 태양보다 암석형 행성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UNSW ... ...
지구 위협하는 태양 고에너지 입자 발원지 처음으로 찾아
연합뉴스
l
2021.03.04
나왔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에 따르면 미국 '조지 메이슨 대학'의 태양
천체
물리학자로 UCL '멀라드 우주과학실험실'(MSSL) 명예 부교수를 맡은 데이비드 브룩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고에너지 입자의 화학 성분을 분석해 발원지를 밝혀낸 결과를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 ...
우주 자원, 소유권 전쟁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2.27
60개국의 서명을 받아 우주조약을 체결했습니다. ‘지구를 제외한 모든 우주 공간과
천체
는 모든 인류에게 열려 있으며, 어느 국가도 소유하지 않는다’는 것이 주요 내용입니다. 하지만 이 조약에는 ‘자원 활용’에 대한 내용이 없다보니 나라별로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김한택 강원대 ... ...
[주말N수학] 2월에 태어난 수학자들
2021.02.27
지동설을 그림으로 나타낸 작품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이의 주장을 뒷받침해 지구 등의
천체
가 타원 궤도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밝혀낸 요하네스 케플러와 같은 수학자의 기여로 인류의 세계관과 우주에 대한 이해는 크게 발전했습니다. 특히 지동설과 피사의 사탑에서의 낙하실험으로 잘 알려진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