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선
전기선
전신선
전신줄
뉴스
"
전기줄
"(으)로 총 61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향한 삐뚤어진 적개심… 연인-이웃이 돌변했다
동아일보
l
2016.05.28
[동아일보] 이해할 수 없는 사건은 우리를 공포에 빠뜨린다. 뚜렷한 이유 없이 죄 없는 사람을 살해하고 시신을 훼손하거나 도망칠 생각도 하지 않는 범인들. 경찰은 그들의 정확한 범죄 동기를 파악하기 위해 범죄행동분석관(프로파일러)을 투입한다. 경찰청이 펴낸 보고서 ‘한국의 이상 범죄 유 ... ...
수면과 암기력, 무슨 관계인지 보니
2016.05.13
flickr 제공 잠을 자는 동안 뇌가 깨어 있을 때처럼 활동하면서 꿈이 나타나는 렘(REM)수면 상태는 전체 수면 시간 중 90~120분 정도다. 렘수면 동안 뇌에 기억이 저장된다는 증거가 처음 발견됐다. 실바인 윌리엄스 캐나다 맥길대 정신의학과 교수팀은 광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렘수면 단계에서 수면 ... ...
‘그래핀’ 한계 뛰어넘을 신소재 대면적 합성 첫 성공
2016.05.03
강상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진공기술센터 책임연구원(왼쪽) 팀이 화학기상증착장비로 이차원 이황화몰리브덴을 큰 면적으로 합성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자유자재로 휘는 플렉서블 전자기기에 필요한 신소재를 가공하는 신기술을 개발했다. 강상우 한 ... ...
스스로 차로 지키고 추월도 척척… 똑똑한 AI 드라이버
동아일보
l
2016.04.20
지난달 23일 스웨덴 베스트라예탈란드 주 예테보리 시의 한 고속도로. 운전석에 앉은 보 헨델 볼보자동차그룹 해외홍보담당 이사가 차량속도를 시속 120km로 높인 뒤 운전대 왼쪽에 위치한 버튼을 누르자 ‘자율주행’이 시작됐다. 이 차량은 볼보가 올 6월 시판을 목표로 개발하는 세단 ‘더 뉴 S90’ ... ...
호기심의 두 얼굴: 호기심은 인간을 이롭게 만들까, 아니면 해롭게 만들까?
2016.04.19
나는 특별한 재능이 없다. 열렬한 호기심이 있을 뿐이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눈을 아래로 두고, 두리번거리거나 헤매지 말고, 모든 감각을 억제하여 마음을 지키라. - ‘숫타니파타’에서 올해 초 중력파 검출 성공 발표는 한 사람의 지적 호기심이 인류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새 ... ...
‘RC카’ 조종하듯 세포 소기관 조종하는 기술 개발
2016.04.17
청색광을 이용한 세포내 물질수송 제어를 나타낸 개념도. - 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무선조종자동차(RC카)를 조종하듯 빛을 이용해 세포 내 소기관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허원도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그룹리더(KAIST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세포내 물질 ... ...
사지마비 환자 최후의 보루, 눈으로 대화할 수 있는 ‘안구 마우스’ 개발
2016.04.15
연구팀이 개발한 안구마우스를 이용해 알파벳 'e'를 쓰는 모습. 눈동자를 움직일 때 발생하는 신경전기신호를 이용한다. - 한양대 생체공학과 제공 카메라 없이도 눈동자의 움직임을 추적해 사지 마비 환자도 자유자재로 글자를 쓸 수 있도록 돕는 ‘안구 마우스’가 개발됐다. 임창환 한양대 생체 ... ...
안면마비 예방, 웃음이 보약
동아일보
l
2016.04.12
■ 강남베드로병원 신경외과 윤강준 원장 증상 지속 땐 미세혈관감압술 추천 안면마비는 한방에서는 구안와사, 벨마비라고 불린다. 보통은 면역력 이상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이와 다르게 뇌신경의 문제로 인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우리 뇌신경은 12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 ...
10파운드 지폐 인물이 된 스코틀랜드 신사임당은 누구?
2016.03.28
수년 전 정신분석학자 사비나 슈필라인의 얘기를 담은 ‘데인저러스 메소드’라는 영화가 개봉했다. 슈필라인의 역을 맡은 배우의 연기에 깊은 인상을 받았는데 낯설지 않은 얼굴이었다. 당시 필자는 몰랐지만 키이라 나이틀리라는 꽤 유명한 배우로 출연작을 보니 2005년 스무 살 때 ‘오만과 편견 ... ...
[웨어러블 로봇의 세계] 한국 웨어러블 로봇 기술의 현주소는?
2016.03.26
국내 웨어러블 로봇 연구는 2000년대 들어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시작됐다. 저출산과 고령화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웨어러블 로봇이 해결책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웨어러블 로봇은 작업능률을 높여 노동인구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근골격계 질환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