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주
객체
바깥
밖
바깥세계
외부
주위
뉴스
"
외계
"(으)로 총 61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 핀 첫 번째 꽃
팝뉴스
l
2016.01.19
로메인 상추와 또 다른 채소인 아루굴라를 재배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우주 공간 또는
외계
의 행성에서 농사를 지으면서 생존할 수 있을까. 영화 ‘마션’에서 묘사하는 상황을 떠올리게 만드는 이미지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 ...
외계
생명체 찾기 어려운 이유, 이것 때문!
과학동아
l
2016.01.16
100조 년 후에도 지구형 행성은 만들어지고 있을 것이라 예측했다. 베루치 연구원은 “
외계
생명체를 못 보는 것은 아쉽지만 지구가 일찍 생성된 덕에 우리는 빅뱅에서부터 초기 은하가 진화한 증거들을 볼 수 있다”며 “1조 년 후에는 우주 팽창으로 인해 이 증거들이 다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 ...
“
외계
인 머리, 화성에서 포착” 논란
팝뉴스
l
2016.01.15
심지어 눈동자도 확인할 수 있다고. 단순한 착시 현상이라 말하는 이들도 있지만, ‘
외계
인 얼굴 화성 사진’이 화제와 논란에 오른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 ...
와인과 은하를 사랑하는 천문학자
2016.01.13
5명뿐이었지만 5년 정도 지난 지금은 20여 명의 연구자가 모여 있다. “지금은 ‘
외계
행성탐사시스템(KMTNet)’으로 남반구를 샅샅이 뒤지고 있어요. 질량이 작은 은하를 찾기 위해서죠. 지난해 12월 첫 관측을 했고, 지금은 그때 얻은 자료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KMTNet은 천문연이 칠레, ... ...
지구 밖에서 들려온 정체 불명의 ‘굉음’ 비밀 풀릴까
2015.12.03
천체망원경에는 ‘꽝’ 하는 굉음이 감지됐다. 이후에도 비슷한 일이 가끔씩 벌어지며 ‘
외계
인설’이 돌기도 했다. 수수께끼로 남아 있던 이 굉음에 대한 새로운 단서가 최근 발견됐다. 마쓰이 키요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교수가 이끈 공동 연구팀은 천체망원경에서 감지됐던 정체 ... ...
목성에 폭풍이 350년 넘게 지속된 이유
2015.12.01
이해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모델이 목성과 토성뿐만 아니라 지구와 다른
외계
행성의 기상 역학을 연구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지구형 행성’ 찾았다
2015.11.12
행성이 수십 억 개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KMTNet으로 연간 200개가량의
외계
행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2021년에는 우리나라와 미국, 브라질과 호주 등이 제작에 참여하는 ‘거대 마젤란 우주망원경’도 도입된다. 지름 8.4m짜리 거울 7장으로 구성된 이 ... ...
조성진의 클래식을 즐기는 과학적 팁!
2015.11.10
이유 1977년 8월 미 항공우주국에서 보이저 2호를 발사하며 혹시 존재할지 모를
외계
인에게 전달할 지구의 소리를 음반에 담았습니다. 그 속에는 세계 각국의 언어로 녹음된 인사말과 함께 인류의 음악을 대표할 바흐의 관현악 모음곡이 수록됐습니다. 베토벤을 비롯한 수많은 음악가들이 손꼽아 ... ...
아폴로 호 달 샘플에 묻은 유기물의 출처는 지구!
2015.10.29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더라도 피할 수 없는 오염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며 “
외계
에서 가져온 샘플에 실제로 존재할지 모를 유기물의 흔적이 지구에서 비롯한 유기물 탓에 묻혀버릴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하고 관련 연구를 지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시료에서 동위원소 조성을 분석해 ... ...
일상 단어 1000개로 최신 우주이론을 설명한다고?
2015.10.18
우주이론을 이해하기 쉽도록 관련 용어를 일상에서 쓰는 단어로 풀어냈다.
외계
행성은 ‘멀리 있는 행성’, 유럽입자물리연구소의 대형강입자충돌기는 ‘커다란 고리형 시설’이라고 쓰는 식이다. 최신 우주이론을 설명하기 위해 풀어쓴 단어 수도 1000개에 달한다. 용어는 쉽지만 내용은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