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유
입수
소지
점유
작은창자
교장
청원서
뉴스
"
소장
"(으)로 총 2,258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소중립 최전선] ③원유·가스 얻고 탄소 저장하고...캐나다 탄소저장 키워드는 ‘경제성’
동아사이언스
l
2022.10.19
단계 이전 연구단계에선 이같은 협력이 자유롭게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오지어
소장
은 "GSC는 한국의 대표적인 지질연구기관인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많은 협력을 하고 있지만 협력의 성과가 잘 알려지지 않은 측면도 있다"며 "한국은 대단히 훌륭한 협력자이며 한국과의 협업 성과가 ... ...
[과학게시판] 표준연, 창립 47주년 기념식 및 노벨상 수상자 강연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2.10.14
전
소장
이 '노벨상 수상과 킬로그램 신정의'를 주제로 강연이 열린다. 폰 클리칭 전
소장
은 측정표준‧측정과학기술 발전을 이끈 석학으로서 표준연과 긴밀한 협력을 이어 왔으며 2014년 표준연 명예연구위원으로 위촉된 바 있다 ... ...
원안위, 국회 추천 비상임위원에 제무성·김균태·박천홍 위촉
동아사이언스
l
2022.10.13
한양대 정밀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2017년 기계연 원장을 지낸뒤 현재 제조장비연구
소장
으로 재직 중이다. 10월 13일 기준 원안위 위원 명단. 원안위 제공 ... ...
[과학게시판] IBS·통계청, 국가통계 과학기술 활용 위한 업무협약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13
선보인다. 여기에는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메시지를 담을 예정이다. 강성호 극지연구
소장
은 "남극과 북극에서 연구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과학자들만 알아서는 안 되겠다는 위기감에 손을 잡게 됐다"며 "국민들이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과 생물종 다양성 보존 ... ...
중이온가속기 '라온' 저에너지 구간 빔 인출 시험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10.12
병행한다. 2024년부터는 본격적인 빔 활용 연구에 돌입한다. 홍승우 IBS 중이온가속기연구
소장
은 “내년 3월까지 단계적으로 진행되는 저에너지 전체 구간 빔 시운전도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
중국, 삼성·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 투자펀드 첫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2.10.11
결합하는 인덱스 간 결합방식을 택해 ‘KRX CSI 한중 공동지수’를 발표했다. 김
소장
은 “양국의 반도체 기업에 투자가 가능한 ETF를 중국 정부가 승인했다고 해도 미국의 장비 수출 규제로 실제 투자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라며 “중국 입장에서는 이렇게라도 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노벨상 2022] "받을 사람이 받았다"...인류건강과 혁신기술 '씨' 뿌린 수상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말했다. 2022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스반테 페보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
소장
. AP/연합뉴스 제공 글로벌 학술정보회사 클래리베이트는 2002년부터 매년 노벨상 후보 예측을 내놓는다. 피인용 세계 상위 0.01%에 속하는 논문을 쓴 학자들 중 연구의 독창성과 인류 공헌도를 따져 후보를 ... ...
[인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2.10.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보 △부원장 김택수 △뿌리기술연구
소장
최태훈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현대 인류의 기원과 특성을 고유전체학으로 밝히다
2022.10.04
진화사에 대한 귀중한 정보가 축적되고 있다. 데니소바인 상상도. 페보
소장
의 가장 잘 알려진 업적은 2008년 러시아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견된 멸종 인류 ‘데니소바인’의 DNA를 바탕으로 해당 고대인의 유전자 지도를 해독한 것이다. 당시 데니소바인의 손가락 부분 뼈에서 채취한 손상된 DNA를 ... ...
[노벨상 2022]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까"...해답 찾은 생리의학상 수상자
2022.10.03
네안데르탈 역시 무리를 지어 살며 큰 뇌를 가지고 도구를 이용하며 살아갔다. 페보
소장
의 연구 성과는 네안데르탈인과 호모사피엔스의 연결성을 밝혔고, 데니소바인 등의 후속 연구로도 이어졌다. 인류의 뿌리가 어디에 있는지 밝혀내는데 공헌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