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성균관대"(으)로 총 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 보는 ‘중력의 눈’ 위력 확인해... 중성자별 세밀하게 밝힌 것도 의의동아사이언스 l2017.10.17
- 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가 이끄는 한국 연구팀이 큰 역할을 했다. 박일흥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우주의 기본 입자 중 하나인 중성미자(뉴트리노)를 관측하는 남극의 아이스큐브(IceCube) 뉴트리노 천문대를 이용해 중성미자 관측을 시도했다. 킬로노바 현상과 함께 중성미자가 ... ...
- 지구로 중력파 보낸 천체 위치, 처음으로 확인됐다동아사이언스 l2017.10.17
- 밝혔다. 국내에선 한국중력파협력연구단, 한국천문연구원, 서울대 초기우주천체연구단, 성균관대 우주과학연구소 등 38명의 과학자들이 참여했다. 중력파 관측소인 미국 라이고(LIGO)와 이탈리아 비르고(VIRGO)는 올해 8월 17일 오후 9시 41분(한국 시간) 중력파를 포착했다. 인류가 포착한 다섯 번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2017.10.10
- 10월 초 노벨과학상 수상자 발표가 있었고 우리의 기대는 이번에도 아쉬움으로 끝났다. 성균관대 박남규 교수가 올해 유력한 화학상 후보로 거론됐지만 사실 페로브스카이트태양전지 분야가 선정된다고 해도 박 교수가 포함될지는 불확실하다. 2009년 세계 최초로 페로브스카이트전지를 개발한 ... ...
- 노벨상 유력 연구의 비결...박남규 교수 “모두가 외면해도 가능성 믿었다”동아사이언스 l2017.09.25
- 지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연구에 몰입하기 시작한 건 2009년 성균관대 교수로 부임하면서부터다. 박 교수는 “좀 더 긴 시간 동안 연구를 할 수 있다는 점과 후학을 양성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대학으로 옮겨 오게 되긴 했지만,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 인프라와 전폭적인 ... ...
- 노벨상 유력 후보에 박남규 성균관대 교수 선정…안정적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공로동아사이언스 l2017.09.20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연구 중이던 박남규 교수는 2009년 성균관대 교수로 부임하면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에 전념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2년 뒤인 2011년 박 교수팀은 기존 대비 2배가량 높은 6.5% 효율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하지만 ... ...
- 한국 개발 우주실험장비, NASA 국제우주정거장에 첫 설치동아사이언스 l2017.08.16
- 연구진은 이 장비를 통해 우주 입자의 신비를 푸는 실험에 돌입할 계획이다. 박일흥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사진)팀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공동으로 NASA의 ‘고에너지 우주선(宇宙線) 측정 실험’에 쓸 ‘실리콘 전하량 검출기’를 순수 국내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 ...
- 국내 개발 관측 장비, 국제우주정거장(ISS)서 우주 입자성분 밝힌다동아사이언스 l2017.08.14
- 우주 관측을 위해 자체 개발한 장비가 국제우주정거장(ISS)을 향해 떠난다. 박일흥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공동으로 개발한 대형 실리콘 전하량 검출기(SCD)를 15일 오전 1시 31분(현지 시간 14일 오후 12시 31분) 미국 케네디우주센터에서 ISS로 발사할 예정이라고 14일 ... ...
- “이번 여름방학엔 소프트웨어에 집중했어요”동아사이언스 l2017.08.11
- 동안 강릉원주대, 경희대, 고려대, 공주교육대, 광주교육대, 대구교육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신라대와 함께 각 대학에서 학생들이 직접 SW를 다루고 체험해 볼 수 있는 다양한 주제의 SW캠프를 열었다. SW가 어렵고 지루한 것이 아니라 우리 생활을 보다 편리하도록 돕는 흥미로운 도구임을 ... ...
- 정전기로 그래핀 전자소자 간편히 구동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7.02
- 그래핀 등 매우 얇은 소재의 전자소자를 간편하게 구동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김상우 성균관대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2차원 물질인 그래핀 표면에 정전기를 일으켜 전기적인 특성을 제어하는 전자소자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탄소 원자 한 층으로 이뤄진 그래핀은 투명하고 잘 ... ...
- 고산병 치료제로 암세포 찾아가는 근적외선 광역학치료제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6.18
- 근적외선 광역학치료제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김종승‧김종훈 고려대 교수, 이진용 성균관대 교수와 조나단 세슬러 미국 텍사스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암을 표적으로 삼아 암 조직의 새 혈관 제조 능력을 억제하는 광역학치료제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암 광역학치료제는 인체에 무해한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