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공기
뱅기
날틀
AIRCRAFRT
비행사
선박
우주선
뉴스
"
비행기
"(으)로 총 81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체험 해외 소식] 봄 바람 휘날리며, 연 한 번 날려볼까?
2017.04.14
인류의 소망은 결국
비행기
를 탄생하게 했습니다. 그러다 과학 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비행기
발명을 너머, 사람을 우주까지 닿게 합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연 축제가 열렸습니다. 국립항공우주박물관에서는 참여하는 아이들의 연령대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했습니다. 미취학 아동을 ... ...
올해 구입할 수 있는 비행 자동차
팝뉴스
l
2017.04.13
설명. 에어로모빌은 2014년 비행차의 프로토타입을 공개한 바 있다. 이번에 공개될 모델은
비행기
로서 완전히 기능하면서 사륜 구동 자동차로 달릴 수도 이TEk고 한다. 동력계는 하이브리드라고 한다. 에어로모빌은 신형 비행차에 대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았지만, 12일 해외 언론들의 집중 ... ...
[사진 아트]그림 같은 남아공 풍경 항공 사진
팝뉴스
l
2017.04.11
않게 예술성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또렷이 보여준다는 평가다. 잭 세클러는 2인승
비행기
에 몸을 싣고 남아프리카공화국 하늘을 2천 마일 가량 날며 사진을 촬영했다고 한다. 파란 바다에서 헤엄치는 한 마리의 거북, 사막이나 초원을 뛰어가는 동물들의 발자국 그리고 파도와 그림자와 사막의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마지막 우주왕복선 ‘인데버’
동아사이언스
l
2017.04.09
땐 로켓처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발사된다. 반대로 다시 지상으로 내려올 때는
비행기
처럼 활주로를 이용해 착륙한다. 인데버를 싣고 우주로 발사된 로켓은 ‘우주수송시스템(STS)’이라고 불리는 발사체로, ‘우주 셔틀’로도 잘 알려져 있다. 우주 셔틀은 인데버 같은 궤도선과 고체 로켓,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가 모기를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4.09
속도도 빨라 그 비행 원리를 연구하고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주로
비행기
는 소용돌이를 피해 나는 방식을 쓰지만, 곤충은 갑자기 발생하는 돌풍에도 흔들림없는 비행 능력을 선보입니다. 연구자들은 계속해서 이런 곤충의 뛰어난 비행능력을 모방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 ...
요가 하는
비행기
조종사 ‘눈길’
팝뉴스
l
2017.04.06
팝뉴스 제공 전 세계를 여행 다닌다. 그리고 틈틈이 이곳저곳에서 요가를 하면 휴식한다. 꿈만 같은 일이다. 실제 이런 꿈 같은 현실을 살고 있는 여성이 있어 해외 SNS에서 인기가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말린 리드큐비스트. 스웨덴 출신이며 29살이고 현재는 크로아티아에서 항공기 조종사로 일한 ... ...
장쾌한 미국 알래스카의 풍경
팝뉴스
l
2017.04.02
제공 한 미국인이 최근 인터넷 포럼 레딧에 공개한 이미지다. 알래스카로 날아가는
비행기
에서 촬영했다는 설명이다. 사진은 장쾌한 느낌이다. 시원하다. 끝없이 펼쳐진 대자연의 위용이 압도적이다. 미시적으로는 하늘의 구름과 산 정상의 눈이 잘 구분되지 않아 신기하다. 계곡을 흘러가는 것이 ... ...
초고속 진공 열차 ‘하이퍼루프’ 테스트 현장 첫 공개
과학동아
l
2017.04.02
제공
비행기
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초고속 진공 열차 ‘하이퍼루프’의 공사 현장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건설사인 하이퍼루프원 사는 지난 3월 8일까지 두바이에서 열린 ‘중동 레일 컨퍼런스 2017’에서 미국 네바다 사막에 건설 중인 하이퍼루프 테스트 시설 ‘데브루프’의 모습을 공개했다. ... ...
2kg 큐브위성에 담긴 학생들의 꿈, 우주로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31
궤도로 올라가려면 연료 소모가 크기 때문에 대형 위성을 쓰긴 곤란하다. 지상에서 띄운
비행기
로는 고도 15㎞, 우주 연구용 풍선을 써도 100㎞가 한계다. 정유연 연구원(32·박사후연구원)은 “링크는 초기고도 400㎞에서 투입돼 6개월간 점차적으로 저궤도로 내려오며 관측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불을 놓는 생태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호주의 경우 원주민들의 오랜 노하우를 전수받아
비행기
나 헬리콥터를 이용한 계획적인 방화를 진행하기도 했다. 호주 원주민들은 수만 년 전 이주한 이래 ‘불쏘시개 농업(fire stick farming)’이라고 불릴 정도로 불을 즐겨 이용했다. 그 결과 오늘날 호주의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