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렬
큰
이음보
뉴스
"
대형
"(으)로 총 3,19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의 불꽃놀이' 감마선 폭발 집중 관측한다… 유럽, '체렌코프 천문대' 준비
동아사이언스
l
2023.08.18
폭발의 순간을 표현한 상상도. ESO 제공 초
대형
별의 폭발과 블랙홀 탄생의 비밀을 풀기 위한 차세대 천문대가 오는 2026년 구축된다. 유럽우주국(ESA) 중심으로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체렌코프 망원경 천문대(CTAO)'가 주인공이다. CTAO가 가동되면 통상 인공위성에 의존하던 강력한 '감마선 폭발' 관측을 ... ...
습도 높을 때도 산불 난다… '좀비산불' 특히 주의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3.08.16
뒤 다음해 산불 시기에 재점화하는 형태의 산불을 말한다. 초기에 잡지 않으면 2~5일 뒤
대형
산불로 번질 가능성이 높다. 논문 제 1저자인 드미트리 칼라시니코프 박사후연구원은 "좀비산불은 점화의 최적 조건이 맞춰지길 기다리며 땅속에 며칠 동안 웅크려 있다가 낙뢰를 기폭제로 점화될 수 ... ...
남극에 '에어로졸' 뿌려 온난화 예방?..."근본적 해결책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3.08.15
지구공학은 공학 기술을 활용해 지구온난화를 늦추는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다. 우주에
대형
거울을 설치해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열을 반사시키거나 인공구름을 생성하는 등 지구온도순환시스템에 인위적으로 개입해 지구 온도를 조절하겠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탄소 규제에 대한 세 가지 ... ...
"토성에도 대기에 수백 년 동안 흔적 남기는 거대폭풍 분다"
연합뉴스
l
2023.08.14
임케 드 페이터 교수는 이 연구에서 미국 뉴멕시코주에 있는 전파망원경 칼 G. 잰스키 초
대형
배열(VLA)로 토성 내부 깊은 곳에서 방출되는 전파를 조사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대기 중 암모니아 가스 농도의 비정상적인 분포를 발견했으며, 그 원인이 북반구에서 일어난 거대폭풍과 관련이 있다는 ... ...
'원자폭탄의 아버지'로 불리는 오펜하이머와 '수소폭탄'
2023.08.12
개발했을 리가 없다. 원자폭탄은 당시로서는 역대급 규모의 인력과 자금이 투입된
대형
연구개발 프로젝트의 결과물이었다. 미국에서 원자폭탄을 만들기 위한 ‘맨해튼 프로젝트’가 시작된 것은 1942년의 일이었다. 이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해 미국 전역에서 수천 명의 과학자, 엔지니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효과적인 대안인 파지요법이 여전히 널리 쓰이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기존
대형
제약회사들의 외면으로 파지요법은 본질적으로 맞춤형 치료이기 때문이다. 감염 부위에서 분리한 박테리아에 맞는 파지를 찾아 치료제로 써야 하므로 번거롭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 상징되는 서구의 ... ...
'아르테미스' 유인 달 착륙 후보지 사진 첫 공개…다누리 발사 '1주년'
동아사이언스
l
2023.08.07
A 분화구를 촬영한 사진. 과기정통부 제공 에르미트-A 분화구는 달의 북극에 위치한
대형
분화구다. 영원히 태양빛이 도달하지 않는 영구음영지역이 포함돼 있다. 이 영구음영지역에 다량의 얼음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어, 섀도우캠의 주요 관측 지역 중 하나다. 다누리 고해상도카메라로 촬영한 ... ...
세 쌍둥이 태아별에 영양분 주는 '탯줄'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04
이정은 교수는 "이번 ALMA 이미지의 가장 충격적인 특징은 SO 방출을 따라 분포하는
대형
다중 팔 구조“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이미지를 처음 봤을 때는 구조들이 가운데 위치한 태아별들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면서 춤을 추고 있는 듯한 인상을 받았다”며 “나중에 이 나선형 팔들이 ... ...
통신 두절 보이저2호, 미세신호 포착…"무사하지만 당분간 통신 어려울 듯"
동아사이언스
l
2023.08.02
당분간 어려울 것이라 전망했다. 1일(현지시간) NASA에 따르면 호주 캔버라에 있는
대형
안테나인 딥스페이스네트워크가 보이저 2호의 미세 신호를 포착했다. 하지만 신호가 너무 미약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는 없는 상태다. 보이저 2호는 지난달 21일 잘못된 명령 때문에 안테나가 지구에서 2도 ... ...
암흑물질 사냥 '유클리드 망원경' 첫 관측 이미지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01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클리드망원경은 ESA가 10여년에 걸쳐 개발한
대형
우주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지난달 1일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우주센터에서 발사돼 목표 관측지점인 제2라그랑주점(L2)에 도착하기 위해 한달여간 우주 여행 중이다. 허블우주망원경보다 200배 넓게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