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습시간"(으)로 총 1,26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천신만고 끝에 세계지도를 그리는 데 성공한 대항해시대의 지도 제작자와 탐험가들은 이제 완성된 지도를 바탕으로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세계를 탐험할 수 있게 됐다. 뇌공학자들은 뇌지도가 비슷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뇌의 신비를 손에 넣은 인류는 스스로의 삶을 어떻게 바꿀까. ... ...
- [생활] 명탐정 셜록 홈즈의 추리 비결은? 통계적 추정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셜록홈즈는 한 학생으로부터 엄마가 이야기하는 ‘엄친아’가 누군지 찾아달라는 요청을 받는다.그 친구는 정말 대단해요. 하나를 알면 열을 알고, 어떤 문제든 논리적으로 해결해 낸대요.음…, 날 말하는 건가? 왓슨, 이 학생의 어머니가 어떻게 날 알아냈을까? 내가 엄친아로 그렇게 유명한 거야? ... ...
- UNIST의 힘은 세계 최고의 교수진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이차전지, 그래핀, 나노바이오 연구 두각UNIST가 특히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분야는 이차전지와 그래핀, 나노바이오다. 여러 번 충전해 쓸 수 있어 환경과 경제성 모두에 유리한 이차전지 분야에서는 미국 MIT, 스탠퍼드대와 함께 세계 3위권에 올라 있다. 이 분야의 대표주자는 조재필 친환경에너지공 ... ...
-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오늘은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발표한 지 60주년을 맞은 2013년 4월 25일입니다. 여러분이 계시는 이곳은 ‘섭섭박사 DNA 연구소’입니다. 현재 DNA 연구가 어디까지 왔고, 유전자 기술이 미래를 어떻게 바꿀지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도록 꾸민 곳입니다. 이번 미션은 연구 ... ...
- 우리는 수학 게릴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얘들아, 우리 아예 수학 동아리를 만들면 어떨까?”함께 모여 방과후 활동을 하던 아이들이 ‘수학 동아리’를 만들기로 뜻을 모았다. 도대체 어쩌다 동아리까지 만들게 된 걸까? 탄생한 지 한 학기밖에 안 된 따끈따끈한 수학 동아리, ‘수학사 연구반’의 이야기를 들어 보자.수학에 대한 열정 ... ...
- 빠수니 탈출 백서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김춘수 시인이 말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 꽃이 되었다’고. 마치 나와 내 아이돌의 관계가 같다. 난 아이돌이 좋아 빠수니가 된 것인가, 빠수니 생활이 좋아 아이돌을 좋아하게 된 것인가. 15년쯤 되면 이제 시작도 끝도 가물가물하다.시작은 미약하나 그 끝은…? ... ...
- 우리는 창의력 대장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이 장면은 청원고 창의력동아리(CSC, creative science club) 학생들이 설계한 ‘골드버그 장치’다. 골드버그 장치란 일종의 도미노로, 기계장치를 복잡하게 연결해 치약 짜기 같은 단순한 동작을 하게 만든다. 다양한 장치를 기발하게 연결하는 과학적 상상력이 중요하다. CSC 학생들은 지난해 ‘대한민국 ... ...
- 3차 흡연, 내 아이가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구분부터 해보자. 담배를 직접 피워 연기를 마시는 것은 1차 흡연이다. 흡연자 옆에서 연기를 마시는 것은 2차 간접흡연(이하 간접흡연)이다. 3차 간접흡연은 흡연자의 몸이나 옷에서 담배 냄새를 맡거나(해로운 물질도 물론) 담배를 핀 공간에 남아있는 냄새나 물질에 노출되는 것이다.간접흡연의 ... ...
- 동물도 행복할 권리가 있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과동이쌤! 우리 과학실험해요. 해부실험해요. 쥐, 아니면 토끼 같은 걸로요. 예전부터 꼭 해보고 싶었어요. 중학교 때 개구리 실험을 했는데 엄청 재밌었어요. 애들이 살아있는 개구리를 보고 무섭다고 소리 지르고 난리였죠. 용감한 제가 개구리를 마취시키고 배를 갈랐어요. 쌤, 저 대단하죠?정훈 ... ...
- PART 2. 을의 슬픈 감정노동, 상처입은 좌뇌 자극하자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감정노동이란 말이 부쩍 많이 회자되고 있다. 요즘은 어느 직업이나 서비스가 좋지 않으면 고객의 마음을 움직이지 못하므로 누구나 어느 정도 감정노동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몸을 쓰는 직업 중에서도 극한직업이 있는 것처럼 감정노동도 마찬가지다. 정말 이 세상에는 별별 사람들이 다 있다. 거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