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발전
성장
향상
전개
발육
화재진압
d라이브러리
"
진화
"(으)로 총 3,203건 검색되었습니다.
질서┃은하단과 은하군, 은하수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병합해 타원은하나 거대한 원반은하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은하 병합은 우주
진화
과정에서 빈번히 일어난다.일정 규모 이상의 은하단 중심부에는 대부분 거대 은하가 자리 잡고 있는 경우가 많다. 거대 은하는 수조 개 이상의 항성을 거느리며 밝은 빛을 낸다. 대표적으로 처녀자리 은하단의 ... ...
후보2. 도마뱀 피부색의 비밀은 세포 자동자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계속 바뀐다는 거예요. 2017년 미카엘 밀린코비치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유전 및
진화
학과 교수는 무려 4년 동안 제 피부를 관찰한 결과 ‘세포 자동자’라는 수학적 원리와 비슷한 과정으로 비늘 색을 바꾼다고 가설을 세우고 비늘 색을 바꾸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어요. 세포 자동자가 뭐냐고요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소자, 설계를 연구하고 있다. 시스템반도체는 향후 뉴로모픽 반도체(Neuromorphic Chips)로
진화
할 전망이다. 뉴로모픽 반도체는 기존의 반도체 구조가 아닌 인간 뇌의 물리적 구조를 모방한 반도체다.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순차적으로 읽어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존 컴퓨터의 반도체 ... ...
지구상 모든 생물은 염기쌍 2개 염기쌍이 4개인 생물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4개만 있으면 모든 생물의 유전정보를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베너 박사는 생명체가
진화
하는 수십억 년 동안 이와 동일한 유전정보 체계가 이어져 오진 않았을 것으로 생각했다. 그래서 그는 지금과는 다른 새로운 염기쌍을 만들어 보기로 했다. 베너 박사는 수십 년간 새로운 염기쌍을 만드는 데 ... ...
영화 ‘맨 인 블랙’ 외계인 vs. 지구 생명체 능력 대결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자연선택이 이뤄진 것”이라고 말했다. 원용진 이화여대 화학생명분자과학부 교수는 “
진화
생물학적으로 봤을 때 이런 현상은 생물의 적응방식 중 하나”라며 “포식자들의 눈에 띄지 않는 방향으로 자연선택이 이뤄진 것”이라고 말했다. ▲ 코코넛으로 변신 중인 코코넛 문어. 몸을 최대한 ... ...
새야, 박쥐야? 새로운 공룡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왕 교수는 “암보프테릭스 롱기브라키움의 독특한 날개 구조를 통해 수각류와 조류의
진화
적 연결 고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38/s41586-019-1137 ... ...
RNA가 지구 최초 생명체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보며 필자는 문득 이 연구가 지구에서 볼 수 있는 여러 생물들의 경쟁과 상생, 그리고
진화
하는 모습과 닮았음을 느낀다. 생명력을 가진 연구라고나 할까. 글. 김서현미국 캘리포니아공대에서 학사를 마친 뒤 현재 하버드대 화학및화학생물학부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화학을 연구하던 중 ... ...
4억3000만 년 전 해삼의 조상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교수는 “솔라시나 크툴루를 포함한 고대 극피동물 화석의 발견으로 이들의
진화
과정을 더욱 자세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98/rspb.2018.279 ... ...
혀의
진화
래퍼의 탄생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핵심 기관이 되기까지, 혀는
진화
를 거듭했다. ▼ 더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Intro. 혀의
진화
래퍼의 탄생 Part1. 혀를 정복하려는 사람들 Part2. 400개 근육의 최종 지휘자 Part3. 영장류에서 인간으로, 자유를 얻은 혀 Infographic. 세상엔 어떤 혀가 ... ...
[혀의
진화
] 혀를 정복하려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3월 29일 서울 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역과 합정역의 중간쯤 위치한 지하 공연장 ‘스테이라운지’. 이날은 대학 동아리의 랩 공연이 열리는 날이었다. 오랜 라이벌인 고려대와 연세대, 이공계를 대표하는 KAIST와 POSTECH(포항공대), 그리고 한국의 현재 수도와 과거 수도의 대결 구도를 가진 서울대와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