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두
전체
일체
모든
완전
완비
큰 도끼
d라이브러리
"
전부
"(으)로 총 1,415건 검색되었습니다.
제2기 독자기자단, 카이스트로 수학여행을 떠나다!
수학동아
l
2013년 12호
과외 같은 사교육을 거의 받지 않았고, 수학경시대회를 준비하는 학원에 다녔던 게
전부
였어요. 그런데 일반계 고등학교에 진학하면 과학고 학생들처럼 학교 수업 외에 개인 연구를 하는 등의 특별한 기회를 갖기가 어려워요. 그렇기 때문에 여기 모인 독자기자단 친구들처럼, 중학교 ... ...
미래의 선택, 통계로 결정한다!
수학동아
l
2013년 12호
싶어 해요. 하지만 기업에서 가진 정보라고는 학생들이 제출한 이력서나 자기소개서가
전부
죠. 즉 스펙과 관련 있는 것밖에 없는 거예요.그런데 이렇게 스펙을 중요시 하다 보니 비슷한 스펙을 가진 학생들이 넘쳐나고 있어요. 따라서 인사담당자 눈에 띄기가 점점 힘들어지고 있지요.그렇다면 취업 ... ...
Intro. 우주론의 역사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지평선 문제와 평탄성 문제를 해결.1998년1a형 초신성을 이용한 관측 결과 우주가 50억년
전부
터 가속팽창하고 있음을 발견하다. 터너가 암흑에너지라는 용어를 만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를 지배하는 검은 손 암흑에너지Intro. 우주론의 역사Part 1.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Part 2.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시기에 나는 배추를 1년 동안 먹기 위해 김장을 했던 셈이다.절이는 것은 자유지만 그게
전부
가 아니란다이 좋은 배추를 어떻게 1년 동안 보관할 수 있었을까. 냉장고가 없던 시절, 채소를 썩거나 얼지 않게 보관할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었다. 신선한 채소를 먹기 위해 인류가 발견한 대안이 ... ...
필리핀 슈퍼태풍, 한반도에도 온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올해 태풍이 실종됐다. 잠깐 스쳐 지나간 10월 태풍에 뒤늦게 호들갑을 떤 게
전부
다. 뒤늦게 슈퍼태풍이라니 지나친 걱정 아닐까. 그렇지 않다. 사실 올해는 태풍이 예외적으로 드물었던 아주 운이 좋은 해에 불과하다.최근 30년(1981년~2010년) 동안 우리나라에 영향을 끼친 태풍은 매년 3개 정도다.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계속 확장되어 전 우주에 퍼질 것이다.그런데 더 무서운 생각이 불현듯 떠올라 내 몸
전부
를 휘감았다.정화파들이 정말로 세계의 본질과 물리를 재규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면?그러면 나의 이상은 정당성을 잃는다. 진화가 옳다는 나의 신념은 어디까지나 세계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한 것이다.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누리게 한 멋진 스승이요.” 실험실에서 연구만 하는 게 과학기술자가 살 수 있는 삶의
전부
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세계를 변화시키는 기업가가 되고 싶다면, 특히 기술로 승부하면서도 일상을 움직이는 특별한 경험을 하고 싶다면 먼저 과학기술자를 꿈꿔보는 게 어떨까. 창업의 길이 손짓할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있다는 게 가장 큰 성과입니다. 요즘 새 제품을 만들어 시장에 내 놓으면 1~2주 만에
전부
팔립니다. 얼마나 더 많은 자금을 갖고 더 많이 만들 수 있느냐가 중요한 상황이지요.”회사를 만들고 이끌어 오는 일이 항상 순조로웠던 건 아니었다. 예상치 못하게 병역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국제 조약 때문에 해외 생물자원을 함부로 한국에 가져올 수가 없는데 축은 오래
전부
터 협력을 맺어와 비교적 자유롭다는 것도 큰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이곳에서 연구센터가 이뤄낸 대표적인 성과는 역시 2008년 국가과학기술 100선 상도 받은 ‘흑진주 대량 생산기술’이다. 미크로네시아연방의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하고 조심스레 생각해 봅니다.” 결국 최 교수는 공부가 인생의
전부
가 ‘당연히’ 아니라는 이야기를 꺼냈다. 어릴 때 공부 잘한다고 다 잘되는 것도 아니다. 그는 또 최근 경험을 이야기하며 현재 교육 현실이 너무 ‘돈’을 버는 데만 초점을 맞춘 비정상적인 교육이라고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