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신소개"(으)로 총 2,126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1. 왜 간은 췌장보다 클까? 우리 몸 안의 장기(臟器·organ)를 잠깐 떠올려 볼까요? 심장, 간, 위, 신장… 어쩜 모두가 제각각 다른 크기를 갖고 있습니다. 이번 호에는 이런 장기들의 크기가 어떤 기작을 통해 결정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963년 호주 월터-엘리자 홀 의학연구소에서 일하던 의학자 도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때 아닌 우박이 떨어졌던 5월 3일. 서울대 정밀기계설계 공동연구소 1층에 위치한 휴게실에서 여섯 명의 우주항공공학전공 학생들을 만났다. 17학번과 18학번인 이들은 출신 학교와 지역이 모두 달랐지만, 우주와 물리, 항공기와 로켓을 좋아한다는 공통분모가 있었다. 내신 4등급 받아도 포기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멸균된 세포 배양 배지 위에 동전을 잠시 올려둔 다음 치운다. 그리고 다음 날 배지를 확인하면 미생물 수 조 마리가 발견된다. 동전에 있던 미생물이 배지에서 순식간에 번식하기 때문이다. 미생물은 20분마다 한 번씩 세포분열을 한다. 1시간 뒤에는 미생물 1마리가 8마리(1→2→4→8)가 된다. 하루 ... ...
- [인터뷰] 세종과학고 입학홍보부장 박종찬 “새로운 문제 만드는 훈련 해보길”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세종과학고는 서울에 있는 과학고 2개 중 하나로, 2008년 개교해 올해 10주년을 맞았다. 박종찬 세종과학고 입학홍 보부장을 만나 세종과학고의 특징과 인재상을 들었다. 1단계 전형, 3개 항목 자소서 기술올해 고교 입시는 중요한 변화가 있다. 올해부터 과학고를 제외한 외국어고, 자율형사립고, ...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그럼 파티를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특별한 손님 몇 분을 소개할까 합니다. 아마추어 수학자 사이에서 최고 스타지요. 모두 잔을 들어주세요. 첫 번째로 피에르 드 페르마 씨를 소개합니다! 어떤 분야를 본업으로 삼지 않고 순수하게 취미로 즐기는 사람을 ‘아마추어’라고 해요. 수학에도 아마 ... ...
-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편집자주 - 과학동아는 DBR(Dong-A Business Review)이 발행하는 기사 가운데 하나를 엄선해 독자 여러분에게 소개합니다. 과학동아에서 만나는 새로운 경제·경영 기사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Article at a Glance]대형 기획사 출신이 아닌 아이돌 그룹 BTS는 데뷔 후 불과 4년 만에 한국 시장을 넘어 글로벌 ... ...
- [인터뷰] GIST 신입생대표 이민행과학동아 l2018년 05호
- ※ 편집자주최근 대학별 입시 제도가 다양해지면서 수석합격자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스펙’도 다양해졌다. 과학동아는 GIST의 지원을 받아 수석합격자에 부합하는 학생을 만나, 중·고등학교 시절 학업 방법을 듣고 이를 통해 대학 합격 비결을 분석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소외 질병을 ... ...
- [필즈상 미리보기] 휴고 듀밀-코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확률 분야의 떠오르는 샛별은 2010년 필즈상을 받은 스타니슬라프 스미르노프 교수의 제자 휴고 듀밀-코핀 교수입니다. 박사 과정 때인 2012년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인 ‘수학연보’에 연구를 발표하며 수학계에 눈도장을 확실히 찍었습니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도 대단한 업적으로 평가받고 있습 ... ...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스파이더맨, 캡틴 아메리카, 아이언맨, 토르, 헐크, 닥터 스트레인지, 블랙 위도우, 블랙 팬서, 스타로드, 가모라, 그루트, 로켓 라쿤…. 다 열거하기도 숨이 찰 정도입니다. 마블 스튜디오의 슈퍼히어로 22명이 총출동하는 영화 ‘어벤져스:인피니티 워’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과학동아가 뽑은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햄최몇?’ 인터넷에서 ‘햄버거를 한번에 최대 몇 개까지 먹을 수 있냐’는 질문을 ‘햄최몇’으로 줄여서 쓰곤 한다. 이 질문을 던지고 싶은 사람이 나타났다. 탑처럼 높게 쌓인 고열량 ‘폭탄 버거’를 보란 듯이 7분 만에 먹어 치운 주인공이다. 독자들에게 고열량 음식이 인체에 미치는 영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