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1화. 마누팩토 행성의 프로보, 프로보, 또 프로보 ...?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5호
- “아야! 눈을 얻다 두고 다니는 거야?”“아, 죄송합니다.”“죄송하면 다야? 인간 녀석들은 이래서 안 된다니까. 버릇을 고쳐놔야 해.”딱지는 기분이 상했습니다.“살짝 부딪힌 것 가지고 너무하지 않습니까?”“뭐? 너도 내가 어려 보인다고 무시하는 거냐? 난 햇빛을 못 받아서 젊어 보이는 ... ...
- [에디터노트] 더 넓은 과학동아로과학동아 l2022년 05호
- 또 다른 매력이 있습니다. 우주와 자연의 이치를 알면 삶에 대한 통찰이 생깁니다. 인간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질문을 던지게 만들죠. 지적인 행복감을 느낄 수 있게 됩니다. 이 세상과 사회에 대한 이해도 깊어집니다.저는 보다 넓은 분야로 과학동아를 확장하려 합니다. 과학과 기술은 좁은 영역에 ... ...
- [가상인터뷰] 비장이 크면 사회적 계급이 더 높은 벌거숭이두더지쥐과학동아 l2022년 05호
- 거의 늙지 않고, 통증 또한 잘 느끼지 못한다. 암과 같은 질병에도 강하다. 이 때문에 인간 수명 연장 연구와 관련해 주목받는 동물이다. Q 비장은 무슨 역할을 하나? 비장은 림프절과 함께 2차 림프 기관으로서 면역 체계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동물의 면역방어기관으로 면역 세포의 형성, 성숙, ... ...
- [엣지사이언스] 인공지능 개발, 진짜보다 나은 가짜 데이터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사진 데이터에서 둘을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을 찾아 변수로 만든 뒤 학습합니다. 이때 인간의 경험에 해당하는 것이 데이터인데요. AI가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좋은 경험이 많을수록 정확한 판단을 내릴 확률이 높은 것처럼, 정확한 판단을 내리는 AI를 만들려면 고품질의 데이터가 ... ...
- [기획] 핵폐기물 어디에 버릴까, 미래 세대를 위한 처분장 후보 4가지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언젠가는 이런 아이디어가 다시 빛을 발할 수 있다”고 했다. 과연 미래에는 인간 생활권 너머로 쓰레기를 버리는 이른바 핵폐기물의 ‘지구 월담’이 가능할까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말고 어과동에 물어봐요! 어과동 기자들이 답을 찾아서 알려줄게요! Q지구에는 몇 명의 인간이 있나요?조세희(ssayhi)우선 중요한 사실은, 그 누구도 세계에 몇 명이 사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는 사실입니다. 매 순간 전 세계에선 사람들이 새로 태어나고 죽고 있으니까요. 그래서 UN 인구국에서는 ... ...
- [IPCC 제6차 평가보고서 해설서] 가난한 사람에게 더 가혹한 기후위기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영향이 모두에게 평등하지 않기 때문이다. 생태계는 심각하게 생존을 위협받고 있지만, 인간들은 생태계만큼 절박하지 않다. 또한 상대적으로 안전한 나라에 사는 사람들에게 심각한 홍수, 가뭄, 산불의 피해는 여전히 남의 이야기로 들릴 수 있다.하지만 글로벌 시대에는 일부 국가나 지역의 ... ...
-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1가정 1최애를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로지를 구현하는 컴퓨터그래픽에, 하이퍼클로바의 초대규모 AI를 입힌다면 완전한 가상인간 아이돌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네요. 모니터 너머로만 만나는 게 아쉽다면, BTS의 외형을 딴 휴머노이드 로봇에 BTS의 행동을 학습한 초대규모 AI를 적용하는 것도 방법이겠죠. 현관문을 열면 BTS가 기다리고 ... ...
- [특집] SNS, 유튜브 행복하게 누리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교수님의 금쪽 솔루션! 사연 속 친구가 느끼는 감정은 남보다 내가 더 나아지고자 하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성입니다. SNS에서 보이는 건 가장 멋진 순간의 일부일 뿐이란 사실을 인식하는 게 중요하죠. 부모님들께도 당부드리고 싶은 말이 있습니다. 간혹 아이에게 ‘너는 OO보다 이게 더 ... ...
- [특집] 외계인과 수다 떠는 법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속도, 중력 등은 모두 수학으로 나타낼 수 있지요. 고도의 기술을 가진 외계인이라면 인간처럼 수학을 발견했을 거라고 예상해요. 1974년 학자들은 푸에르토리코에 있는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1679개의 숫자로 이뤄진 메시지를 보냈어요. ‘000000101…’. 이렇게 숫자는 0과 1만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