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작 감기인줄 알았던 코로나바이러스의 진짜 정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항체)을 개발할 수도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코로나바이러스는 자연 숙주인 박쥐에서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끊임없이 새로운 종을 만들어내고 있을 것이다. 다양하게 재조합된 코로나바이러스는 언제든 중간 숙주를 거쳐 인간에게 도달하거나 인간에게 직접 침투해 우리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다시 성으로 들어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넣어요. 그럼 우리 세포는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와 단백질의 양을 늘리고,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와 단백질은 다시 우리 세포 밖으로 나와 또 하나의 바이러스가 된답니다. 이후 바이러스는 또 다른 숙주 세포 속으로 들어가 수를 불리죠. 한편, 세균은 보통 0.5~ 5㎛(마이크로미터, 1㎛는 백만 분의 1m) ... ...
- [이달의 책] 생명의 나무는 계속 자란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선이 하나 추가돼 이어지기도 했다.이처럼 유전자 분석이 발달하면서 생물의 새로운 유전적 특성과 진화 과정이 밝혀졌고, 이에 따라 분류 체계를 세우는 ‘분자계통학’이 등장했다. 다윈의 생명의 나무는 분자계통학을 만나면서 계속해서, 지금 이 순간에도 진화하고 있다.이 책은 생명의 나무의 ... ...
- 무증상 감염, 슈퍼전파… 악재 겹친 코로나19 효과적인 방역 대책은?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전달하지 못한다. 하지만 간혹 전파력이 강한 바이러스는 무증상 시기에도 자신의 유전체를 기어코 다른 숙주에게 옮기고야 만다. 장염을 일으키는 노로 바이러스나 매년 다른 모습으로 찾아오는 독감 등이다. 무증상 감염을 고려한 SLIAR 모형2월 20일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가 배포한 자료에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코로나바이러스, 플라스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띠를 만드는 플라스마 대기도 ‘코로나’랍니다.바이러스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뉘어요. 유전정보를 DNA에 담는 ‘DNA 바이러스’와 RNA에 담는 ‘RNA 바이러스’지요. RNA는 다른 물질과 쉽게 반응하기 때문에 DNA 바이러스보다 돌연변이가 잘 일어나요. 그래서 신종 전염병으로 등장할 확률이 높지요. ... ...
-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리네? 코로나19 진짜 팩트 5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바이러스 단백질은 프로테아제에 의해 적당한 크기로 잘리면서 활성화됩니다. 그리고 유전체와 함께 조립돼 바이러스가 만들어집니다.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것이죠. 그런데 칼레트라의 두 성분이 프로테아제의 작용을 막고, 결과적으로 바이러스의 증식이 억제됩니다.코로나19처럼 새롭게 등장한 ... ...
- [DGIST] 신형 나노입자로 비정상 세포 정조준과학동아 l2020년 03호
- EGFR)가 단일 분자 수준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세계 최초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EGFR은 유전자에 변이가 생기면 정상세포를 암세포로 바꾸고 암세포의 성장을 돕는 대표적인 암 표지인자다. 이 연구결과는 화학 분야 최고 학술지인 ‘미국화학회지(JACS)’ 2018년 10월 31일자에 실렸다. doi: 10.1021/jacs. ... ...
- 실험꾼이 '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흰쥐’ 하면 실험 쥐가 딱 떠오르쥐? 그래서 연구소에 있는 우리 친구들을 가장 먼저 소개할게. 쥐가 왜 이곳에서 활약하게 된 건지 그 이유를 알 ... 쥐도 만들어 실험실에 제공하고 있지요. 우리나라도 많은 연구기관과 대학에서 직접 유전자변형 쥐를 개발해 연구에 활용하고 있답니다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많이 사용된다(201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분야다). 예 교수는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자를 변형해 스스로 수용체를 만들게 하고, 이 수용체에 결합하는 항체를 분리하면 된다”며 “길항제는 박테리오파지의 수용체와 쉽게 결합해 그만큼 분리하기도 쉽다”고 설명했다. 반면 작용제는 ... ...
- [한장의 과학] 껌으로 복원한 5700년 전 소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DNA가 남아 있었기 때문이에요. 뼈나 치아 화석 외에 다른 사물로 사람의 완전한 유전체 정보를 얻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에요.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이 껌 조각이 진흙 구덩이 깊숙이에 있어 산소가 차단돼 DNA가 완벽히 보존될 수 있었다”고 말했어요. 이어 “이 껌으로 소녀의 식습관도 알아낼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