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딩으로 수학 배우고 R&E까지 폴수학학교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게임을 하고 있나’라는 생각이 머리를 스쳤다. 그 순간 마음을 읽기라도 했는지
옆
에 있던 고재석 폴수학학교 교무부장이 말했다. “수업 중이에요!” 폴수학학교는 충청북도 괴산군의 한적한 곳에 자리 잡고 있는 대안학교로,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약 70명의 학생들이 기숙사 생활을 한다.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보렴.”그러고 보니 수호와 채윤이를 둘러싼 공간이 또다시 바뀌고 있었어요. 채윤이
옆
의 공간이 출렁이며 다른 차원으로 가는 입구가 생겼죠. 그곳에는 화산의 모습은 온데간데없고, 대신 광활한 바다와 메마른 해안이 펼쳐져 있었어요. 수호가 말했어요.“여긴 와본 곳 같은데…, 아! ‘대기의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순간”이라고 말했다. 또 한 전문가는 “프랑스 혁명의 얼이 녹아 있는 베르사유 궁전
옆
에서 21세기 단위계 혁명이 일어났다”며 감격해 했다. 다음 재정의 주인공은 시간의 단위 ‘초’ 이번에 바뀐 4개 단위는 내년 ‘세계 측정의 날’인 5월 20일부터 적용된다. 하지만 단위의 정의가 ...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장치였다. 설명을 듣다보니 마치 사람이 건강검진을 받는 병원에 온 것 같았다.
옆
방인 분자유전학실험실에는 유전자증폭시스템과 분광광도계 같은 영장류의 유전체를 연구할 수 있는 장비가 즐비했다. 고품질 영장류 자원의 분자마커를 개발해서 고품질 영장류를 표준화하는 연구가 이뤄질 ... ...
전해진 서울시립대 총장장학생 - “나만의 공부 방법을 만들어 보세요”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쓰지 않았다. 대신 문제집을 노트처럼 썼다. 문제를 푼 뒤 틀린 문제나 헷갈린 문제
옆
에 직접 해설을 써넣는 것이다. 그는 수능을 치를 때까지 3년간 이 방식을 고수했다. 이 방식의 핵심은 절대 답지에 의존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전 씨는 문제풀이가 담긴 답지 대신 교과서와 참고서 등을 활용해 ... ...
[별난이름 정리]살인마 운전기사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오른쪽 그림은 바로 이런 상황을 나타낸 겁니다. P에서 출발한 살인마의 자동차가 바로
옆
에 있는 원 구역에 들어가려면 넓게 한 바퀴 돌아와야 합니다. 즉 이 원이야 말로 도망자에게 안전한 곳이지요. E에서 출발한 도망자는 살기 위해 원 안으로 달려 들어갑니다. 하지만 방심은 금물입니다. ... ...
NASA 60주년, 달부터 화성까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목표를 정하고 개발을 시작했다. 우주왕복선은 액체 연료를 채운 거대한 탱크와 양
옆
으로 고체 추진제가 들어 있는 부스터, 그리고 우주비행사들이 탑승하는 궤도선으로 구성됐다. 이 가운데 액체 연료 탱크를 제외하고는 모두 재사용이 가능했다. 궤도선은 우주로 나갔다가 그대로 지구에 귀환할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마주했다. 필자가 본 아놀드 교수의 모습 중 가장 행복한 모습이었다. 그의 사무실 문
옆
에 붙어있는 작은 카드가 새삼 생각나는 날이었다. 그 카드에는 ‘할 수 있다고 믿었기에 결국 해냈다’고 적혀 있다.조인하미국 웨슬리언대에서 물리학과 화학을 전공했다. 현재 캘리포니아 공대 프랜시스 ... ...
Part 3. 참고래, 골격표본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방식으로 골격의 물기를 없애는 거지요. 이번에 작업하고 있는 참고래는 현재 연구센터
옆
별도의 공간에서 말리는 중이에요. 하지만 건조 과정에서 골격 일부가 뒤틀리며 망가질 수 있어요. 그래서 골격의 변형을 최대한 막기 위해 제습기를 가동해 창고 안을 건조한 환경으로 항상 유지하고 있지요 ... ...
Part 1. 하늘을 담은 유리의 위협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비친 하늘을 보고 진짜 하늘로 착각해 부딪힐 수 있지요. 왜 그럴까요? 새는 눈이 머리 양
옆
에 달려 있어서 뒤쪽까지 볼 수 있을 정도로 시야가 넓어요. 반면 앞을 볼 수 있는 거리는 무척 짧답니다. 그래서 유리에 매우 가까이 다가가기 전까진 이것이 진짜 하늘인지, 유리에 비친 하늘인지 잘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