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재"(으)로 총 2,1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고층빌딩] 불에 타도 끄떡없는 기둥 세워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내화 시스템은 필수적이다. 한화건설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팀은 불에 타지 않는 소재로 거푸집을 제작하는 ‘탄소저감형 영구 거푸집’ 공법을 개발했다. 공사 장비인 거푸집은 콘크리트를 타설한 뒤에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연구팀은 거푸집을 고온에 잘 견디도록 개량한 뒤, ... ...
- [통합과학 교과서] 지구의 속사정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태양 빛이 새어나와 오로라가 만들어진 거라고 해요. 지구공동설은 종종 소설과 영화의 소재가 되고 있어요. 프랑스의 쥘베른이 쓴 소설 은 2008년 로 영화화 되기도 했지요. 그렇다면 지구공동설은 과학적으로 근거가 있는 이야기일까요?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 ...
- [과학뉴스] 끊어져도 완전히 다시 붙는 신소재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수준의 자가 치유 능력을 보이는 신소재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월 4일자에 표지논문으 ... 완전히 회복했다. 연구팀은 스마트폰 보호필름이나 자동차 도장 등 다양한 분야에 이 소재가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doi:10.1002/adma.20170514 ... ...
- [아파트] 외벽타고 상승하는 불, 불연성 외장재가 해답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아파트 화재 참사 이후 6층 이상의 건물 외벽에는 드라이비트용 단열재를 가연성 소재로 쓸 수 없도록 건축법을 바꿨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페놀수지와 발포제를 반응시켜 생성한 열경화성 셀룰러 폴리머(페놀릭 폼)로 외벽에 부착할 수 있는 경량 불연성 자재를 개발해 상용화했다. 단열재를 ... ...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1038/s41598-017-05270-8 최유림 농진청 축산생명환경부장은 “미니항체 단백질을 항바이러스 소재 물질로 활용해 AI를 포함한 가축의 바이러스성 질병 문제 해결의 첫 걸음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만 닭을 비롯한 가금류의 유전체에서 AI에 저항성을 가진 유전자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변승준 ... ...
- 이공계 직업 정보 [화학&신소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줄여 초소형, 초경량으로 설계할 수 있다. 활용 범위가 넓은 만큼 물리학, 화학공학, 신소재공학,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등 전공 선택의 폭도 크다. 3. 차세대배터리 연구자최근 전자제품의 핵심은 배터리다. 스마트폰과 전기자동차 등 차세대 전자제품은 한 번 충전으로 얼마나 오래 작동하는지에 ... ...
- 학생부의 의미와 중요성, ‘학종’ 선발 왜 늘어나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외부 활동 및 취업 등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2017년 3월, 서울 소재 10개 사립대학이 학생부종합전형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여기서 대학마다 입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종단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2015학년도와 2016학년도의 중도 탈락률(대학 입학 뒤 자퇴) 평균을 보면, ...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보다 더 단단한 필름을 개발 중이다. 액체금속을 전극 소재로 사용하기 위해 정밀하게 패터닝하는 연구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폴더블폰 다음엔 어떤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가 등장할까. 김 교수는 “둘둘 말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섬유처럼 늘어나는 ... ...
- [Culture] 뜻밖의 히어로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드라마 ‘순정에 반하다’, 2016년 SBS 드라마 ‘사랑은 방울방울’ 등은 모두 심장 이식을 소재로 하고 있습니다. 기증자의 사랑에 대한 기억이 수여자에게 전달되면서 벌어지는 일을 담고 있죠. 아무래도 심장이 가지고 있는 상징성 때문인가 봅니다. 면역반응 토대로 한 성장물만약 과학기자인 ... ...
- [Career] 분자기계와 배터리의 효율적인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충격을 줄인 점이 눈에 띄었다. 이 연구에서 영감을 받은 최 교수는 로탁세인을 음극 소재에 적용했다. 최 교수는 “연구를 하다 보면 자신의 분야에만 갇혀 다른 분야를 보기 어려울 때가 있다”며 “항상 다른 사람은 어떤 연구를 하는지 관심을 갖는 자세가 내 연구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