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크릭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혀내는 데 바이러스 연구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
셈
이다. 1978년 델브뤼크는 캘리포니아공대의 ‘오럴 히스토리 프로젝트’에 참가해 자신의 생애를 인터뷰로 남겼다. 당시 자료에 따르면 델브뤼크는 “과학이 어떤 방법보다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일찍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후천 면역반응의 핵심인 T림프구과 B림프구가 활성화되려면 수지상세포의 도움이 필수인
셈
이다. 공교롭게도 스타인먼은 노벨상 수상 발표 사흘 전인 2011년 9월 30일, 약 4년 6개월에 걸친 췌장암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났고, 노벨 위원회는 스타인먼의 작고 소식을 모른 채 수상자로 결정해 공표했다. ... ...
Chapter 01. 대유행┃ 최근 50년간 인간을 괴롭힌 바이러스 7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약 1000만 명으로 추산되니, 당시 전쟁이 아닌 바이러스로 인한 사망자가 더 많은
셈
이다. 그러니 당시 인류에게 전쟁보다 무서운 것은 어쩌면 독감이었을지도 모른다. 그래서 혹자는 바이러스가 제1차 세계대전의 종결을 앞당겼다고 말한다.찬란한 황금빛의 색채로 ‘키스’라는 명작을 그린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지니고 있다. 자신보다 수십 조 배 이상 큰 인체라는 우주로 무선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셈
이다. 이들의 신호를 받아 활성화된 자연살해세포는 세포막과 세포질을 해체하는 단백질(효소)을 내뿜는 등 선천 면역반응 단계에서 다양한 항원을 무차별적으로 공격해 자살을 유도한다. 이를 통해 병원성이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면역은 평생 유지된다. 어렸을 때 한 차례 접종한 백신이 평생토록 예방 효과를 내는
셈
이다. 물론 예외도 있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백신 등은 매년 새로운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 바이러스가 매우 활발하게 돌연변이를 일으키고, 이 과정에서 항원 부위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매년 유행하는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핵산 백신은 가장 최근에 개발된 백신 개발 전략이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DNA, RNA 같은 핵산이 주성분이다. 유전공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백신 연구자들은 바이러스의 항원 ... 국내에서는 처음 임상시험 승인을 받았다. 코로나19 백신 속도전에서는 핵산 백신이 가장 앞서있는
셈
이다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감염됐을 뿐이다. 집단면역을 얻으려면 아직도 엄청난 수의 사람이 질병에 걸려야 하는
셈
이다. 집단면역을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백신을 개발하는 것이다.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 코로나19는 매우 위험하고 해로운 질병으로 남아 있을 수밖에 없다 ... ...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만다. 살의 양이 변화하는 속도는 매우 다양한 인체 내외적 요인들에 의해 좌우되는
셈
이다.모든 화학물질의 대사 과정은 단순히 화학 결합이 끊어지거나 바뀌는 단편적인 화학반응만으로 설명하기에는 어려울 정도로 복잡한 신경계나 호르몬계 등의 체내 시스템과 함께 상호 보완적인 복잡계를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안보인다고 무시하지마! 공기의 힘을 보여주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6호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를 채우기 때문이에요. 말하자면 헬륨 풍선을 타고 날아다니는
셈
이죠. 그런데 이를 위해선 한 가지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요. 헬륨은 비행선을 위로 띄울 순 있어도, 앞으로 가도록 만들 순 없다는 점이에요. 이 때문에 추진력을 내기 위해 엔진과 프로펠러, 그리고 엔진을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arcuate nucleus)에 작용한다. 궁상핵이 식욕과 식이행동을 조절하는 중요한 컨트롤타워인
셈
이다. 특히 궁상핵에 존재하는 POMC(proopiomelanocortin) 신경세포와 NPY/AgRP(neuropeptide Y/agouti-related peptide) 신경세포는 각각 식욕 조절의 ‘주연’과 ‘조연’을 번갈아 담당할 만큼 중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