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교적임"(으)로 총 2,555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때론 반쯤은 엉뚱한 실험이 과학을 발전시킨다. 이런 실험은 지금도 우리 주변에서 진행 중이다.게다가 아르바이트(이하 알바)를 하며 돈을 벌 수 있단다. 팔도를 누비는 장돌뱅이의 심정으로 전국을 누비며 이상한 실험실에서 알바를 직접 해봤다. 단순한 재미를 넘어, 그곳에는 진짜 과학이 있었 ... ...
- 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자신의 자녀를 살해하는 사건이 잇따르고 있다. 월부터 4월까지 언론에 보도된 자녀살해 사건만 총 13건이다. 이들은 대체 왜 자신의 혈육(血肉)을 죽인 걸까. 그 이유를 과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1파트), 학대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2파트)을 찾아봤다.‘이 아이는 날 방해하는 아이야.’“자 ... ...
- [재미] 킹앤카_제 28화 위기의 화학실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KAIST 수리과학과 학생이라고 해서 꼭 수학 전공 과목만 들을까? No!학생들은 물리, 화학, 생명공학 등 자연과학 과목들도 함께 공부한다. 이와 함께 꼭 수강해야 하는 것이 화학실험 같은 실험 과목이다. 화학실험 수업의 조교를 맡고 있는 상호는 미리 실험 준비를 해야 한다. 그런데 잠시 쉬러 들른 ... ...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타성의 진화를 종 전체의 이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라고 해석하는 집단 선택설이 대세를 이룬 20세기 중반. 자연 선택이 개체의 수준에서 일어난다는 개체 선택설은 어떻게 다시 힘을 얻었을까. ‘다윈 이후 가장 위대한 다윈주의자’라고 불린 윌리엄 해밀턴의 등장에서 이야기는 시작된다.뭔가 ... ...
- [Tech&Fun] 광물이야기14_이란에서 온 눈송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2015년 7월 14일. 이란 핵 협상이 타결됐다. 이란이 핵을 포기하는 조건으로 국제사회로 복귀하게 된 것이다. 국제사회도 이를 반겼다. 8000만 명에 이르는 인구와 풍부한 원유, 천연가스 등의 자원이 침체 된 국제 경제 회복에 단비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컸다.이란의 핵 포기는 광물 애호가들에게도 ... ...
- [소프트웨어] 게임카페_소리만 듣고도 원샷 원킬!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상대 팀은 우리를 방해하기 위해 공격해 올 거예요. 저 안에 몇 명이나 되는 상대편이 어디에 숨어있는지 알 수가 없으니 답답하네요. 이럴 땐 역시 ‘파이어 인 더 홀’을 외치며 수류탄을 던져 터뜨린 다음, 용감하게 뛰어 들어가야 해요!잠깐! 누군가 뛰어오는 소리가 오른쪽 1시 방향에서 들려요. ... ...
- [재미] 도넛처럼 생긴 적혈구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도넛처럼 생긴 적혈구의 비밀적혈구는 온몸에 산소를 전달하는 세포입니다. 적혈구 안에는 산소와 결합할 수 있는 헤모글로빈 단백질이 들어 있는데요,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결합하면 붉은 색을 낸답니다. 그런데 적혈구는 다른 세포와 달리 ‘구멍이 막힌 도넛 모양’이에요. 왜 그럴까요? 일반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그는 모든 어른들과 마찬가지로, 소금보다 먼저 태어났다. 학교는 주거구역 한가운데에 있었다. 야트막한 언덕 위, 집들이 내려다 보이는 곳. 광산이 보이지는 않지만 광산의 소리와 진동은 느껴지는 곳.소금은 다른 아이들과 마찬가지로, 그를 일곱 살 때 만났다. 그가 코쇠1에 살기 시작한 지는 이 ...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우리는 누구나 크든 작든 배신을 하면서 살아갑니다. 마음 한편에는 나를 믿어준 사람에 대한 미안한 마음이 자리잡고 있지만,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누군가와 협력하면 두 사람 모두에게 이득이 되지만, 배신하면 그의 이득까지 나의 이득이 된다는 걸. 하지만 그 이득의 단맛에 너무 빠져버리면 ... ...
- [Career] 산소로 정화한 물, 마셔볼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대학 교수와 인터뷰를 준비할 때 연구실 홈페이지는 꼭 방문해 본다. 그 사람에 대해 그만큼 잘 정리된 정보처도 없기 때문이다. 이창하 UNIST 도시환경공학부 교수의 홈페이지를 들어갔을 땐 대번 눈에 들어오는 것이 있었다. 연구실 학생들과 이 교수의 모습이 담긴 수많은 사진들이었다. 최근 테뉴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