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큰
d라이브러리
"
방대한
"(으)로 총 660건 검색되었습니다.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힘든 복잡한 계산을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그러나 컴퓨터가 가진 빠른 정보처리능력과
방대한
데이터기억능력은 통신망을 통해 전세계 구석구석까지 전달됨으로써 그 영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있다. 부가가치통신망(VAN) 종합정보통신망(ISDN) 쌍방향(CATV) 멀티미디어 비디오텍스 등 뉴미디어로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있었다는 아이디어에 기초하고 있다. 줄거리 자체는 단순하지만 그 배후에는 클라크류의
방대한
전망이 담긴 깊은 여운이 감도는 작품이다.이 작품에서 특히 재미있는 것은 마지막 부분에서 나타나는 클라크 우주관의 한 단면인데, 지구에 존재하던 많은 생물들 중에서 인간을 진화의 표본으로 ... ...
거인 IBM과 일곱난쟁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내린 가격덕택으로 모든 공업제품에 마이크로컴퓨터의 사용이 보편화된 것이다. 이제는
방대한
컴퓨터의 부품 하나하나가 각각 LSI화되어서 다른 기기속에 내장되는 것이다.더구나 마이크로 컴퓨터는 컴퓨터의 소유에 있어서 일대 혁명을 일으켰다. 그 장본인은 잘 알고 있듯이 애플컴퓨터다. ... ...
타국 땅에서 그려 보는 조국의 밤하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맞잡고 있음으로써 대답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우리 조상들의 천문학은 남겨진
방대한
기록과 문헌이 증명하듯 당시의 중국과 아라비아의 수준을 위협할 만큼 높은 경지의 것이었다. 그러나 우리의 천문학은 근세에 접어들면서 여타의 고유한 지(知)적 전통의 운명이 그러했듯 긴 잠에 ... ...
2. 바다는 지구 생물의 80%가 사는 거대한 수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유용물질을 생산하려는 유전육종학적 기술을 말한다.해양생물공학은 해양에 살고 있는
방대한
생물군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성격상 광범위한 응용분야를 포함하고 있으며, 생물공학의 특성상 여러가지 학문분야가 융합된 종합과학의 성격을 띠고 있다. 해양생물은 크게 어류 패류 조류 ... ...
지구 심부의 움직임을 읽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광범위한 지역에 약 1천5백㎞의 간격으로 50여군데의 초정밀 지진관측점을 설치한다는
방대한
계획이다.이미 일본에 3개의 관측점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금년 3월 포항에 또하나의 관측점이 설치됐다. 광범위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지진을 기록, 분석하기 위해서는 전세계적인 관측망의 형성이 ... ...
4. 기존 권위에 도전하는 비판정신 길러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현대 과학기술문명은 인간의 생존방식을 엄청나게 진보시킨 반면 적절한 제어능력을 상실해 인류문명 전체에 대한 위기상황을 초래했다.아마도 우리 시대에 가장 널리 알려진 과학자는 아인슈타인일 것이다. 그러나 이는 아인슈타인이 그만큼 많이 이해되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사실 아 ... ...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1956년 미국 다트머스 대학에서 민스키 맥커시 샤논 로체스터 등 컴퓨터과학자들이 모여 정립한 인공지능(AI)개념은 지난 35년동안 전세계 과학자들의 가장 인기있는 연구테마였는데···걸프전쟁이 발발한 후 인공지능이 전장에서 활약하는 상황을 뉴스를 통해 자주 목격하게 된다. 유도탄이 목표물 ... ...
PART Ⅴ 잠자는 뇌를 흔들어 깨워라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좌우뇌의 전환훈련법, 오감(五感)을 통한 두뇌개발법, 음악 운동 그림을 이용한 뇌력향상법에 대해 알아보자.뇌의 발달은 유전인가, 환경인가. 이에 대한 논란은 뇌력(腦力)향상의 가능성 여부를 가름한다. 학자들은 일관되게 "인간은 부모로부터 유전적 기질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살아가는 동안에 ... ...
3 제6세대 컴퓨터를 향한 첫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실험적으로 조사하는 단계에서는 지금까지의 임상학 해부학 그리고 뇌신경 생리학의
방대한
지식의 정리와 그에 근거한 새로운 실험해석, 분자 생물학이나 생화학에 의한 뇌신경의 미시적인 원리 규명 등이 중요하다. 또 최근 발전이 두드러진 뇌의 내부를 수술하지 않고 볼 수 있는 컴퓨터 단층(CT,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